정부, 2025년산 쌀 10만t 우선 격리…“수확기 시장 안정 노력”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10.13 16:29  수정 2025.10.13 16:29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서 초과 생산 대응 방안 논의

민간 재고 감소·병해 확산 고려해 10만t 우선 격리 결정

소비자 할인행사·농가 피해 지원 등 후속 대책 병행

서울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시민들이 쌀을 고르는 모습. ⓒ뉴시스

농림축산식품부가 2025년산 쌀 초과 생산이 예상됨에 따라 수확기 가격 안정을 위해 10만t을 우선 격리하기로 했다.


민간 재고 감소와 일조량 부족, 병해 발생 등 생산 변동 요인을 감안해 나머지 물량은 추후 재점검해 추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2025년산 쌀 수급 안정 방안을 논의한 끝에, 초과 생산이 예상되는 물량 중 10만t을 우선 격리하기로 했다.


국가데이터처가 지난 2일 발표한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357만4000t으로,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만ha 줄었음에도 10a당 생산량이 전년(514kg)보다 늘어난 527kg으로 집계됐다. 예상 수요량은 340만9000t으로, 초과 물량은 약 16만5000t 수준이다.


위원회는 올해 민간 재고가 평년보다 적고, 최근 일조량 부족과 깨씨무늬병 확산 등으로 실제 생산량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초과분 중 10만t을 우선 격리하고, 11월 중 최종 생산량과 내년 초 소비량 확정치를 반영해 추가 대책을 검토하기로 했다.


우선 격리하는 10만t 중 5만5000t은 정부양곡 대여 반납분, 4만5000t은 가공용으로 용도 제한한 사전격리 물량이다.


현재 산지 쌀값은 전년·평년 대비 높은 수준이지만, 정부는 햅쌀 출하가 본격화되는 10월 중순 이후 가격이 점진적으로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쌀 할인행사도 9월 말에서 10월 말까지 연장하고, 할인폭도 20kg당 7000원으로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최근 깨씨무늬병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10월 중 농업재해 인정 및 복구비 지원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피해 벼는 농가 희망 물량 전량을 매입해 소득 안정을 돕고, 시중 유통 쌀 품위 저하를 방지할 계획이다.


또 산지유통업체의 벼 매입 자금 지원과 유통질서 단속을 강화해 수확기 유통 혼란을 최소화하고, 일본 내 높은 쌀값을 고려해 수출 확대 방안도 병행 추진한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올해도 쌀 초과 생산이 예상되지만 일조량과 병해 영향을 감안해 우선 10만t을 격리할 계획”이라며 “수확기 이후에도 시장 안정을 위해 생산·유통 전반의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