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소비자 권익 보호 및 건전한 영업문화 정착
내부통제 사각지대 점검·개선 프로그램 함께 가동
신한투자증권이 금융 소비자의 권익 보호와 건전한 영업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내부통제 강화 프로그램인 ‘스캔들Zero 2.0’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급변하는 금융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통제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점검·개선하기 위한 ‘내부통제 White hacker’ 운영 프로그램을 함께 가동했다.
‘내부통제 White hacker’ 운영 프로그램은 현업의 실무 경험과 전문성을 결합한 인재 운영체계로, 선발된 인재들은 원소속 부서에서 근무하며 내부통제 취약 영역을 발굴·개선 제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별도 조직 신설 없이 기수별 운영 체계를 통해 유연하고 지속적인 내부통제 개선 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일상이 되고 문화가 되는 바른 영업’이라는 원칙 아래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할 경우 ▲전 임원 성과급 일괄 차감 ▲KPI 평가 및 포상에서 제외 ▲지점장 인사 평가 및 직원 개인 성과 평가 반영 등 책임 범위를 조직 전반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영업 실적이 우수한 지점이라도 소비자보호·고객만족도·고객수익률 등 핵심 지표가 부진할 경우 모든 포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단기적인 지점의 성과보다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조치다.
또한 고위험 상품 소비자 보호 체계도 한층 강화했다. 만 80세 이상의 초고령 투자자가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에 가입하는 경우, 해당 지점과 직원의 판매 수익을 불인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불완전 판매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품별 완전판매 표준 스크립트를 제공하고, 표준판매 원칙을 체계화했다. 미스터리쇼핑 평가와 연계된 판매중지 제도를 도입해 평가 점수가 기준에 미달하면 해당 영업점의 관련 상품 판매를 일정 기간 제한하고 있다.
정용욱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총괄사장은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이익과 신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비자보호 가치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현장의 우수 인재들이 참여하는 ‘내부통제 White hacker’ 운영을 통한 리스크 선제 관리로 내부통제가 일상이 되는 조직문화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