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구 증가…효율 육아 선호
프리미엄 고가 식품 등에 관심 급증
기업 유기농 원재료 앞세워 시장 재편
초저출산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영유아 이유식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맞벌이 가구 증가로 직접 이유식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한 부모들이 늘면서,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제품 라인과 차별화된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신뢰를 넓히는데 앞장서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맞벌이 가구 비중은 2015년 44.2%에서 지난해 48.0%로 꾸준히 늘고 있고 30대에서는 그 비중이 61.5%에 달했다. 한 자녀 가정이 늘면서 ‘비싸도 좋은 음식을 먹이겠다’는 주부들이 상승해 이를 겨낭한 맞춤형 제품이나 정기 배송 서비스도 성장세다.
특히나 식품업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유식이 중심인 국내 영유아 간편식 시장은 지난 10년 새 5배 정도로 규모가 늘었다. 2015년 680억원에 불과했던 영유아 간편식 시장은 작년기준 3000억원을 돌파했다. 올해는 3300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저출산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변화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육아에 쏟을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게 됐고, 아이에게 쓰는 돈을 아까워하지 않는 부모가 늘면서 내 아이에게 좋은 것을해주고자 하는 소비 트렌드가 하나의 배경이 됐다.
여기에 조리 시간 단축이 큰 장점으로 통하기 시작하면서 이유식 배달을 찾는 부모가 많아졌다. 가정에서 조리하기 어려운 다양한 음식을 전문가 맞춤형 설계에 따라 골라 먹일 수 있다는 점 역시 부모의 육아 스트레스를 덜고 시장을 키우는 촉진제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배송 시스템의 발달로 원하는 시간 신속하게 받아볼 수 있다는 점도 이유식 구매 사유를 높였다. 야외나들이 등 비상용으로 챙기기 좋게 소포장으로 제품을 구성하는 업체가 증가하면서 양조절과 편의성이 동시에 높아졌고, 이같은 소비 흐름세는 더욱 빨라졌다.
이에 따라 최근 이 시장은 매일유업, 남양유업, 일동후디스, 베이비본죽 등은 ‘프리미엄·간편·맞춤형’ 세 가지 키워드로 시장을 재편 중이다. 유기농 원재료, 알러지 유발 성분 배제, 월령별·체중별 맞춤식 등으로 세분화된 제품 라인을 내세우며 부모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정기 구독형 이유식, 냉동 이유식, 간편 파우치형 제품 등으로 진화하며 ‘홈메이드급’ 품질과 ‘간편식의 편의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다. 출산율은 줄어들었지만, ‘한 아이에게 아낌없이 투자하는 소비’가 이유식 시장을 견인하고 있는 셈이다.
남양유업은 2012년 영유아식 브랜드 ‘아이꼬야’를 통해 동결건조 제품을 런칭하며 이 시장에 진출했다. 다양한 월령별 이유식, 과자, 소스 등 약 38종의 라인업을 확보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가장 큰 차별점은 '신선한 원료' '안전한 영양설계', '나트륨 안심설계' 등이다.
시장 변화와 부모 니즈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5월 출시한 소스형 간편 조리식 '맘스쿠킹 바로먹는 소스 2종'(소고기 라구, 소고기 짜장)은 국내 소스류 중 유일하게 ‘영유아식품’ 표기를 획득했다. 또한 나트륨 안심설계와 소고기/야채 베이스로 영양을 강화하기도 했다.
매일유업의 ‘맘마밀’은 안심정보 공개 시스템으로 투명한 생산과정 공개와 유기농 쌀, 국내산 채소 원료를 사용하는 한편, 소아과 전문의의 영양 가이드를 반영한 영양설계다. 또 언제 어디서나 바로 먹을 수 있는 간편한 레토르트 파우치 패키지로 제작하고 있기도 하다.
일동후디스의 ‘아이얌’은 50년 이상 축적한 이유식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산 원료와 무첨가 원칙을 지키면서 성장 단계별 맞춤 영양 설계를 적용해 타사와 차별화하고 있다. 주식·간식·음료 등 폭넓은 라인업을 갖추고 아이의 첫 식습관 형성까지 고려한 영양 설계를 지켜오고 있다.
이 밖에도 순수본이 운영하는 프리미엄 영유아식 브랜드 ‘베이비본죽’은 업계 후발주자임에도 본죽의 오랜 조리·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부모가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맞춤형·편의형 서비스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18년 약 160종으로 시작해 현재는 666종의 메뉴를 운영할 만큼 라인업을 확대한 상황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3개년 기준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약 26%에 달한다. 회원 수 역시 41만 명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차별화 비결로는 맞춤형 정기 구독 서비스 ‘식단플래너’를 꼽을 수 있다. 고객은 배송일·지역·메뉴·단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이유식 단계를 기존 5단계에서 현재 8단계, 유아식은 9단계로 세분화해 보다 정교한 맞춤 설계가 가능하다.
자사몰에서는 매일 180여 종의 메뉴를 단품으로 제공해 구독 없이도 아이 상황에 맞게 고를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주문 즉시 생산하는 오더메이드 방식과 주문 익일 새벽 수령 가능한 드림배송 서비스를 더해 신선도와 편리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업계 관계자는 “출산율은 줄었지만 부모의 소비력은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며 “이유식 시장은 단순한 먹거리 산업을 넘어 ‘육아 효율화’와 ‘프리미엄 소비’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영역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한 자녀 가정이 많아지면서 ‘내 아이만큼은 좋은 것만 먹이겠다’는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며 “앞으로는 영양 설계와 원재료의 투명성, 배송 편의성까지 아우르는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