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 7월(0.8%)보다 0.1%포인트(p) 상향한 0.9%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대폭 상향된 1.8%로 예측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궤도로 복귀할 것을 전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IMF는 14일 이같은 내용의 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IMF는 ▲미국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무역경로 재편으로 보여준 경제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 대비 0.2%p 상향한 3.2%로 예측했다. 2026년은 3.1%p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IMF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국 2025년 성장률을 지난 전망 대비 0.1%p 상향된 1.6%로 수정했다. 2026년 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1.6%로 예측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관세 인하, 감세법안 통과, 금융여건 완화 등으로 2025년, 2026년 모두 0.1%p 소폭 상향 조정됐다.
유로존(1.2%, 1.1%)의 경우 아일랜드의 견조한 성장, 독일의 민간 소비 회복 등으로 2025년 성장률이 0.2%p 상향했다. 반면, 2026년 성장률은 소폭 하향(-0.1%p)되며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됐다.
주요 7개국(G7)과 유로존을 제외한 기타 선진국(1.8%, 2.0%)은 일부 국가의 대미 무역협상 타결, 실질 임금 인상에 따른 소비 개선 등에 힘입어 2025년 성장률이 상향 조정(0.2%p)됐으나, 2026년 전망은 소폭 하락(-0.1%p)했다.
신흥개도국 그룹인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국의 2025년 성장률은 7월 전망 대비 0.1%p 상향한 4.2%, 2026년은 기존과 동일한 4.0%로 예측했다.
중국(4.8%, 4.2%)은 조기 선적, 재정 확장정책이 무역 불확실성·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함에 따라 2025·2026년 성장률 모두 지난 전망 수준을 유지했다.
인도(6.6%, 6.2%)는 서비스업 등 상반기 실적 호조의 영향으로 2025년 전망은 소폭 상향(0.2%p)됐으나, 2026년에는 미국 관세의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성장 전망이 다소 하향(-0.2%)됐다.
물가상승률의 경우 2025년 4.2%, 2026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나라별로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인다고 예측했다.
2025년 물가상승률의 경우 선진국은 7월 전망을 유지(2.5%)한 반면, 신흥국은 0.1%p 하향한 5.3%로 전망했다.
미국은 올해 하반기부터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전가되기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2025년 목표치를 상회한 2.7%를 기록했다. 2027년에는 2% 목표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IMF는 내다봤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졌다”이라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과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화하면서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IMF는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권고했다.
먼저, 예측 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규칙 기반의 산업정책 설계와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가 필요하다고 봤다. 재정 측면에서는 세입 확충·지출 효율화를 통해 재정 여력을 화복하고, 명확한 기준점을 포함한 중기재정 프레임워크를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금융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하면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할 것을 촉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