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택배기사 1만명 “심야배송 금지 반대”…노동계 주장에 현장 반발 확산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입력 2025.11.03 14:20  수정 2025.11.03 15:05

현장 설문 95% “심야배송 지속할 것”

“노동계가 일자리 없앤다” 지적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노동계에서 밤 12시 이후 심야시간대 배송을 금지하자는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쿠팡 위탁 택배기사 1만여명이 소속된 단체에서도 반대입장을 밝혀 이목을 끌고 있다.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민주노총의 '심야기사 배송' 방안에 대해 반대한다고 3일 밝혔다.


CPA는 전체 쿠팡 택배기사(퀵플렉서) 2만명 가운데 1만명이 소속된 국내 최대 규모의 택배유관 단체다.


이날 CPA는 성명에서 “노동자의 해고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심야 배송 택배기사들을 사실상 해고하려고 한다”며 “심야 배송이 아니라 사회적 대화를 폐지해야 할 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야간 택배기사 생계 박탈선언 ▲택배산업붕괴 자해 행위라며 새벽배송 폐지 주장을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짜 택배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는지 의문이며, 심야배송 경험이 없는 일부 인원의 억지 주장을 그대로 받아쓴 ‘받아쓰기’”라며 “택배기사에 진정성있는 사과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PA는 민주노총의 ‘심야시간(0시~5시) 배송 제한’과 관련, 야간 새벽배송 기사 2405명 대상의 긴급 설문조사를 공개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93%가 ‘심야시간 배송 제한’을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95%는 “심야배송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야간배송의 장점으로는 ‘주간보다 교통혼잡이 적고 엘리베이터 사용이 편하다(43%)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수입이 더 좋다’(29%), ‘주간에 개인시간 활용 가능’(22%), ‘주간 일자리가 없다’(6%)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는 “야간배송을 규제하면 다른 야간 일자리를 찾겠다”고 응답했다.


또 민주노총이 새벽배송 금지로 내놓은 오전 5시 출근(05~15시 근무), 오후 3시 출근(3시~24시 근무) 이원화 방안에 대해서도 택배기사의 89%가 “반대한다”고 했다. ‘주·야간배송 교대제’에 대해서도 84%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CPA 측은 “0~5시 배송을 제한하면서, 오전 5시부터 새벽배송이 가능하다는 발상은 새벽배송 시스템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발상”이라며 “오전 5시 배송을 시작하면 출근시간에 차는 막히고 엘리베이터는 등교하는 아이, 출근 주민으로 가득 차 배송을 할 수 없는 기본적 현실을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CPA가 강경한 반대 입장과 설문조사를 내놓자, 택배업계 일각에선 “민주노총 택배노조를 제외한 택배기사들은 모두 반대에 동참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쿠팡의 새벽배송은 쿠팡 직배송 기사(7000여명)를 대변하는 ‘쿠팡 노조’와 택배대리점 소속 퀵플렉서(약 2만여명 추산)가 맡고 있는데, 주요 택배 유관단체들이 모두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택배업계에 따르면, 새벽배송 배송기사는 전국 1만5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앞서 쿠팡 직배송 기사를 대변하는 ‘쿠팡노조’는 성명을 내고 “새벽배송은 쿠팡의 핵심 경쟁력이며, 해당 시간대 배송이 중단되면 상당수 기사들이 일자리를 잃는다”며 “배송 물량이 주간으로 몰릴 경우 교통 혼잡과 민원 증가 등 사회적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여기에 CJ대한통운·한진 등 일반 택배기사 6000여명이 가입한 것으로 알려진 비노조택배연합측도 적은 교통량과 짧은 이동시간, 낮은 업무강도 등 장점으로 새벽배송이 택배기사에 유리해 민주노총 입장에 반대의사를 표시한 상태다.


택배업계에 따르면, 국내 택배기사는 약 10만여명 규모로 이 가운데 민주노총 택배노조 소속 기사는 10%가 채 안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총 택배노조 쿠팡지회 소속 택배기사도 100~20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주요 택배기사 커뮤니티에서도 “야간 배송에 만족했는데, 바로 실직자가 되는 것이냐”, “다수 택배기사에 물어보지도 않고 자기들 생각을 밀어붙인다”는 항의성 글이 쏟아지고 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민주노총이 택배기사의 목소리를 모두 대변한다는 생각은 어불성설에 가깝다며 “택배기사 뿐 아니라 소비자와 소상공인, 정치권 등 다수가 반대하고 있는 만큼 조속히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