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부, 인천·도봉·용인 등 6곳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 지정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11.10 06:00  수정 2025.11.10 06:01

지역 맞춤형 환경교육·탄소중립 실천 기반 높이 평가

3년간 전문가 컨설팅·우수 사례 전국 확산 추진

기후부 전경. ⓒ데일리안DB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 공모 결과, 광역지자체 1곳(인천광역시)과 기초지자체 5곳(도봉구·부천시·용인시·청주시·원주시) 등 6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환경교육도시 지정 제도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교육 추진 기반과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를 지정해 지원하는 제도로, 2022년 처음 도입됐다. 현재까지 총 13곳의 지자체가 지정돼 운영 중이다.


이번 공모는 6월 20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15곳(광역 2, 기초 13)이 신청했다.


평가는 환경교육 추진 기반, 성과, 계획의 우수성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고, 환경교육·교육일반·환경행정·도시계획 전문가가 참여한 평가위원회 심사와 현장 평가를 거쳐 환경교육위원회가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6곳은 지역 환경교육 활성화 조례 제정, 자체 환경교육 계획 수립 및 이행, 지역환경교육센터 운영 등 기반이 잘 갖춰져 있으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에 대한 지자체장의 의지도 높게 평가됐다.


각 지자체의 비전은 ▲인천광역시 ‘환경을 잇는 배움으로, 미래를 잇는 인천’ ▲도봉구 ‘탄소중립 DNA로 변화·성장·미래를 꿈꾸는 도봉’ ▲부천시 ‘환경·시민참여·문화가 어우러진 지속가능한 그린 부천’ ▲용인시 ‘환경교육 르네상스를 이끄는 용인’ ▲청주시 ‘시민 모두의 배움과 실천으로 도시의 큰 변화를 만드는 청주’ ▲원주시 ‘시민의 강한 의지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원주’다.


특히 인천광역시, 도봉구, 용인시는 2022년 첫 지정 이후 3년간 지역 맞춤형 환경교육 모델을 정립하고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계적 교육 추진으로 재지정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 지정 기간(2026년 1월 1일~2028년 12월 31일, 3년) 동안 전문가 상담과 지자체 간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환경교육 포럼을 통해 우수 사례를 전국에 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국비 지원을 위한 예산 확보에도 힘쓸 방침이다.


서영태 기후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교육도시는 국민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높이고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지역 중심의 탈탄소 녹색사회 실현을 위한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