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대책 한달…성동·용산·서초 등 상승률 커져
매물 부족 현상, 역세권·학군지 중심 전셋값 강세도 지속
ⓒ부동산원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이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역은 되레 오름폭이 커졌고, 전세시장 역시 매물 부족에 따른 강세가 계속됐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11월 2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일주일 전 0.19%에서 금주 0.17%로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
정부 대책 발표 이후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서울 전체 아파트값은 3주째 둔화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지역별로는 온도차를 나타냈다. 서초구는 0.16%에서 0.20%로, 송파구는 0.43%에서 0.47%로 각각 상승폭이 확대됐다. 용산구는 0.23%에서 0.31%로, 성동구는 0.29%에서 0.37%로 일주일 전 대비 각각 0.08%포인트(p) 상승폭을 키웠다.
그 외 서울 대부분 지역에선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강남구는 0.15%에서 0.13%로, 강동구는 0.21%에서 0.14%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동작구도 0.43%에서 0.38%로 둔화 흐름을 나타냈다.
부동산원은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가 이어지며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일부 선호단지 및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세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진단했다.
서울을 포함해 인천이 0.04% 오르고 경기가 0.10% 상승하며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11% 올랐다.
경기 역시 규제로 묶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집값이 강세를 나타내는 지역이 있었다. 과천시는 같은 기간 0.44%에서 0.40%, 성남 분당구는 0.59%에서 0.58%로 각각 오름폭이 축소됐다.
ⓒ부동산원
반면 수원 권선구는 0.13%에서 0.21%로 상승했고, 용인 기흥구 역시 0.21%에서 0.30%로 상승폭을 키웠다.
지방은 5대 광역시가 0.01%, 세종이 0.02%, 8개도가 0.01% 각각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0.01%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올랐다.
전셋값 강세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일주일 전(0.08%)과 동일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도권(0.11%→0.11%), 서울(0.15%→0.15%) 및 지방(0.05%→0.04%) 모두 상승했다.
서울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역세권 및 학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전세수요가 이어지며 상승계약이 체결되고, 일부 단지에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전셋값이 전반적으로 올랐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구가 0.32%, 서초구 0.30%, 양천구 0.29%, 영등포구 0.27% 등 오름세를 나타냈다. 강북권에선 중구(0.18%), 성북구(0.16%), 광진구(0.13%), 성동구(0.12%), 용산구(0.11%)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인천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8%, 경기는 0.10% 각각 상승했다. 지방에선 5대 광역시가 0.06%, 세종이 0.49%, 8개도 0.01% 등으로 전체적으로 0.0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