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서 ‘2만9000가구’ 공공분양…2·3기 신도시 등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5.11.26 14:00  수정 2025.11.26 14:44

경기 2만3800가구 …서울 1300가구·인천 3600가구 공급

LH, 비주택용지 주택용지로 전환…4100가구 확보 착수

내년 공공분양주택 위치도.ⓒ국토교통부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2만9000가구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이 공급된다. 9·7 공급 대책 발표 당시보다 2000가구, 올해에 비해선 7000가구가 늘어나는 규모다.


국토교통부는 내년에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 등과 총 2만9000가구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내년 2기·3기 신도시 등에서 9·7 대책 때 발표한 물량보다 2000가구 증가한 규모로 LH·SH·GH·iH의 올해 분양 물량(2만2000가구)보다 7000가구(32.2%) 늘어난 수치다.


국토부는 “최근 5년간 평균 수도권 분양 물량(1만2000가구)의 약 2.3배 수준”이라며 “특히 판교(2만9000가구)급 신도시를 새로 조성하는 것에 준하는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만3800가구로 가장 많고 서울과 인천이 각각 1300가구와 3600가구로 분포됐다. 주요 지구 별로는 3기 신도시에서 고양창릉(3881가구), 남양주왕숙(1868가구), 인천계양(1290가구) 등 7500가구가 공급되고 2기 신도시에서도 광교(600가구), 평택고덕(5134가구), 화성동탄2(473가구) 등 7900가구가 예정돼 있다.


그 외 기타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1305가구), 구리갈매역세권(287가구), 검암역세권(1190가구) 등 총 1만3200가구가 공급된다.


정부는 공급 물량 상당수가 정주 여건이 우수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광역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 접근성이 뛰어나 직주 근접 실현이 가능한 입지에 위치해 있어 실수요자들의 선호가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달 남양주왕숙(881가구)과 군포대야미(1003가구)를 포함해 올해 남은 기간에도 수도권에서 총 5100가구가 수도권에서 추가 분양된다.


LH의 직접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9·7 대책에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용지 용도전환 정례화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제도 도입 전 우선 추진물량으로 1만5000가구 공급계획을 수립했는데 이날 LH가 우선 추진 물량의 28%에 해당하는 41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용지 용도 조정방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조정대상 입지들은 남양주왕숙(455가구)·파주운정3(3200가구)·수원당수(490가구) 등이다. 각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으로 수원 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9·7대책을 통해 착공 중심의 관리 체제로 전환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공주택 물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며 “국민이 선호하는 입지에 양질의 공공주택을 신속히 공급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가 지속 확대될 수 있도록 주요 공공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