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 이행 의지 약화보다도 큰 문제는 도대체 안걷히는 세금
FIU법 등 지하경제 양성화 법안들, 번번히 야당이 발목잡기
정부가 기초노령연금 지급 대상을 축소키로 결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약 후퇴의 책임을 둘러싼 모든 비판의 화살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쏠리고 있다. 부족한 세수로 모든 복지공약의 원안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야권은 박 대통령의 핵심 대선공약 후퇴를 빌미 삼아 공세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공약 후퇴의 모든 책임을 정부에 전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4대 중증질환 진료비 100% 지원, 65세 이상 국민에 대한 기초노령연금 지급 등 박 대통령의 핵심 복지공약이 축소된 배경에는 정부의 공약 추진 의지보다 부족한 세수와 야당의 비협조적 태도가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재원이다. 정부는 지난 5월 31일 새 정부의 청사진을 담은 공약 가계부를 발표했다. 복지공약을 포함한 140개 국정과제 이행을 위해 향후 5년간 134조8000억원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정부는 지하경제 양성화와 조세체제 개편을 통해 5년간 50조7000억원의 세입을 늘리고, 불요불급한 지출을 줄여 84조1000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계획이다. 가계부대로라면 당장 올해에만 2조9000억원의 세수를 추가로 확보하고, 4조5000억원의 세출을 절감해 모두 7조4000억원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올 상반기에만 10조원의 세수 결손과 46조원의 재정적자가 발생했다. 주택시장을 비롯한 내수침체, 취득세율 인하로 인한 세수 부족으로 후반기 재정여건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이처럼 세수규모가 축소된 데에는 정부가 세수 확보를 위해 추진한 입법들이 잇달아 불발된 점이 크게 작용했다. 후반기 입법을 통한 정부의 세수 확보 방안은 크게 두 방향이다. 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해 탈루 세금을 잡고,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통해 법인세와 소득세 과세표준을 늘린다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기초연금 공약 후퇴는 공약 이행 의지 약화라기 보다 현실적으로 세수 결손에 의해 재정 악화와 지하경제 양성화 법안 발목을 잡은 야당으로 인한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난 16일 국회에서여야 대표들과 박 대통령이 만나는 장면.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