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개혁 기획⓷>참여정부 당시 개혁드라이브
당시 추진 공무원연금 개혁안, 새누리당 안과 흡사
정부와 새누리당이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공무원연금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최근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발의하며 큰 걸음을 내디뎠지만 여전히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한 공무원 사회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공무원들은 크게 두 가지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첫째는 ‘상대적으로 낮은 국민연금의 지급 금액을 공무원연금 수준으로 끌어올려 상향평준화를 해야 한다’, 둘째는 ‘일반기업에 비해 박봉인 상황에서 공무원연금을 개혁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과연 공무원들의 주장은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갖고 있을까? ‘데일리안’은 이같은 공무원들의 주장에 대한 타당성을 짚어봤다.< 편집자 주 >
“공무원연금 제도의 불안정은 공직사회는 물론 다음세대와 미래세대의 정부에게 큰 부담을 지우게 될 필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얼핏 보면 현재 공무원연금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 새누리당의 발언같지만 실제로는 참여정부 당시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의 주장이다. 유 전 장관은 공무원연금 개혁의 선봉장에 섰던 전력을 갖고 있다.
현재 새누리당이 공무원연금 개혁의 연내 처리를 목표로 전방위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국정 운영의 동반자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못해 ‘하박상박의 개악’이라며 비판 일색이다.
특히 과거 참여정부 시절 유시민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이 주도했던 공무원연금 개정안이 지금의 새누리당 개정안과 별반 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또다시 새정치연합의 이율배반적인 태도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당사자들 반발로 못 고치면 대한민국 전체가 현재 그대로 서 있어야 한다”
참여정부 당시 유 전 장관은 누구보다 공무원연금 개혁에 앞장섰다. 개혁을 달성하기 위해 때로는 거침없는 직언직설도 회피하지 않았다.
유 전 장관은 지난 2007년 1월 15일 기자 브리핑을 갖고 정부가 마련한 개정안에 대해 “공무원들도 일반 국민의 한 사람이기 때문에 국민연금 수준에 맞게 개혁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안 확정 과정에서 자기 이익을 깎아내는 심정으로 새 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다 강도 높은 개혁안을 요구한 것이다.
사흘 뒤인 19일에는 한국언론재단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은 시기상으로나 내용상으로 같이 개혁하는 게 옳다”면서 “당사자(공무원)들이 반발한다고 고치지 못하면 대한민국 전체가 현재 있는 자리에 그대로 서 있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어차피 (공무원연금을 개혁하지 않고) 그냥 갈 수는 없으며,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 문제는 국민의 관점에서 토론하고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전 장관은 해당 발언을 한 뒤 이례적으로 국무회의에서 박명재 당시 행정자치부 장관(현 새누리당 의원)과 설전을 벌이는 등 지속적으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유 전 장관은 행자부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시간 끌기 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고, 박 전 장관은 ‘잘 모르고 한 말’이라고 일침을 가한 것이다.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공원에서 열린 ‘100만 공무원·교원 총궐기 대회’에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등 50여개 단체 참석자들이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며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