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8조1522억 원...주요 사업군 성장성 유지
CJ제일제당은 장기화되고 있는 내수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5865억원의 영업이익(대한통운 제외)을 기록해 전년대비 35.9%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내수경기 침체 등에도 불구하고 주요 사업군의 성장성을 유지하며 매출도 전년대비 10.7% 늘어난 8조1522억원을 달성했다.
CJ제일제당측은 "장기화되고 있는 내수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비비고와 햇반 등 가공식품 대형브랜드의 판매 호조와 메치오닌 등 바이오 신규 제품의 시장 안착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라고 밝혔다.
특히 전 사업부문에서 고강도 구조혁신활동과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한 결과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수익성이 개선되며 지난해 영업이익이 5865억원을 기록했다.
바이오와 생물자원 등 해외 기반 사업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전체 매출에서 글로벌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육박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도 있었다. 특히 바이오의 경우 최근 주력해 온 사료용 아미노산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작업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2013년 바이오 전체 매출에서 60% 이상을 차지했던 라이신 매출의 비중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50% 아래로 내려갔으며, L-메치오닌을 비롯해 트립토판 등 고수익 제품군의 비중이 그만큼 늘어났다. 이를 통해 아미노산 판가 하락 등 외부 악재로 인한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글로벌 전략 상품인 비비고 만두의 미국 매출이 전년 대비 52.2% 성장하는 등 식품부문 역시 글로벌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회사의 주력 사업인 식품부문의 매출은 4조1504억원으로 전년비 8.1% 증가해 내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유지했다. 특히 비비고 냉동제품군을 비롯한 주력 제품군과 함께 지난해 출시한 햇반 컵반 등 가정간편식(HMR) 제품의 판매 호조세가 이어져 가공식품 분야 매출은 전년비 12.9% 상승했다.
바이오와 제약부문으로 구성된 생명공학부문 매출은 전년비 15.1% 상승한 2조1964억원을 기록했다. 고수익 신규 사료용 아미노산인 L-메치오닌이 지난해 초부터 본격 생산에 돌입하며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고도의 R&D를 바탕으로 한 원가경쟁력 강화와 함께 고수익 신규제품군이 시장에 빠르게 안착하며 수익성도 개선돼 바이오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00억원 이상 늘어났다. 제약부문(CJ헬스케어)은 신규 전문의약품(ETC) 성장세와 함께 기능성 음료제품의 판매가 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 증가했다.
전체 매출의 약 3분의2 정도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물자원 부문의 매출액은 1조80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 주력 시장인 베트남 매출이 35.2% 늘어나는 등 해외 시장 성장세가 지속됐으며, 중국 사업 구조혁신 효과 및 해외·생산시설 증설로 인해 사료 매출이 증가한 것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CJ제일제당은 "앞으로도 장기화되고 있는 내수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구조 강화와 혁신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