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다른 새로운 10년 준비는 글로벌 마인드로 시작
기술 인재에게 정년 없는 회사 만들 것...안전관리도 충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향후 10년의 경영 환경이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면서 글로벌 일류 기술 기업의 길을 개척해 나가기 위해서 1등 마인드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호 부회장은 3일 신년사를 통해 “앞으로 10년의 사업 환경은 과거와는 상상 이상으로 다를 것”이라며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 시작은 ‘글로벌 마인드’"라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인공지능(AI)·자율주행·메타버스 등 수요 다양화 및 xPU로 대변되는 시스템 아키텍처 분야 내 다원화가 발생하는 등 시장 환경이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제는 그동안 알고 있던 경쟁 법칙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을 것이므로 우리가 지속적으로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사업 모델과 기술 개발 방향성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이에 SK하이닉스의 메모리 기술은 단방향으로 공급되는 컴포넌트(Component)가 아닌, 고객과 함께 미래 기술을 논하고 실현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략적 자산(Asset)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의 다변화와 여러 기술적 한계 속에서 이제는 그 어느 기업도 혼자서는 꿈꾸는 미래를 실현할 수 없다”며 “이런 변화 속에서 여러분께는 글로벌 ICT 생태계 중심에서 세계 유수 기업, 유망 벤처들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고 미래기술을 연구할 오픈 콜라보레이션(Open Collaboration)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박 부회장은 이제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위해 ‘1등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는 점을 임직원들에게 당부했다.
회사가 이미 메모리 업계 중심으로 올라섰으며 이번 솔리다임(SOLIDIGM) 인수를 통해 글로벌 메모리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양적·질적으로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선도사와 같은 경쟁선 상에 서게 되었고 이제는 스스로 모든 것을 헤쳐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구성원 여러분께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라는 정체성을 깨고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패스파인더(Pathfinder), 즉 ‘1등 마인드’를 가져야 할 때 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이런 변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업문화 업그레이드’도 약속했다. 1등 기업을 키운 경험과 ICT 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획득한 글로벌 스탠더드를 구성원들이 일하는 환경으로 누릴 수 있도록 우수한 기업문화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부터 훌륭한 기술 인재에게 정년이 없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선배 엔지니어와 여러분이 함께 오랜 기간 축적한 노하우는 회사의 굉장히 중요한 자산이자 반도체 생태계 발전의 밑거름”이라며 “이에 SK하이닉스 유니버시티(University)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해 구성원뿐만 아니라 반도체 생태계 성장까지도 이끌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기업문화 모든 영역에서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초기 단계부터 구성원 여러분과 충분히 소통하면서 공감과 실행력이 높은 실질적인 혁신을 추진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기본적인 경영활동에 충실하면서 ‘안전관리’에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우리가 가진 본원적 경쟁력은 새로운 10년을 위한 성장의 밑거름이므로 올해 계획한 경영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준비 등 중장기 전략 실행에도 차질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이번 ‘안전개발제조총괄’ 사장 인사를 통해 천명한 바와 같이 우리 회사는 물론 모든 협력사 구성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인식하고 빈틈없는 안전 관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SK하이닉스가 이제 우리만의 회사가 아니라면서 ‘1등 기업’으로서 고객·협력사·주주·지역사회 등 수많은 이해관계자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이슈를 경험하면서 반도체 생태계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면서 반도체 생태계 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대한민국이 진정한 반도체 강국으로 발전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영역에서도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는 물론 경영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며 ESG 경영 실천을 가속화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앞으로 펼쳐질 10년에는 구성원 여러분이 글로벌 ICT 산업과 반도체 생태계를 이끌고 1인당 국민소득 5만달러 시대 선진 대한민국을 만드는 경제 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글로벌 일류 기술 기업의 인재가 될 것을 확신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