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휴가 끝나니 파업?…GM·르노코리아 노조, 秋鬪 전운


입력 2022.08.12 06:00 수정 2022.08.11 16:27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한국GM·르노코리아 노조, 쟁의권 확보 통해 사측 압박

한국GM, 임금인상률 및 전기차 생산 설비 두고 입장차 ↑

르노코리아, 전례없는 ‘다년 임단협 합의’에 협상 난항

인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에서 머리에 띠를 두른 노동조합원이 걸어가고 있다. ⓒ데일리안 DB

‘하투(夏鬪) 시즌’이 저물어가는 가운데 한국지엠(GM)과 르노코리아는 노사갈등으로 파업의 불씨를 끄질 못하고 있다. 양사 노조가 파업권 확보까지 나서면서, ‘추투(秋鬪)’로 이어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 지부는 쟁의권 확보를 위해 오는 16일∼17일 이틀간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표 대상은 한국GM 노조 부평·창원·사무·정비지회 등에 소속된 조합원 7400여명이다.


쟁의투표와 함께 열두 번째 추가 교섭도 진행하기로 했다. 추가 교섭 결과에 따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 신청도 검토하겠단 방침이다. 투표 찬성률이 50%를 넘고, 중노위가 조정중지 결정을 내린다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한국GM과 노조는 임금인상폭과 성과급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질 못하고 있다. 지난 6월 23일부터 지난 10일까지 노사는 11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월 기본급 14만2300원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400% 성과급(1694만원 상당)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GM해외사업부문(GMI) 실적개선으로 한국GM의 수익성이 개선됐단 이유에서다.


8년 연속 적자를 낸 한국GM은 받아들이기 힘들단 입장이다. 한국GM의 2014년 이후 누적 손실액은 3조원이 넘고 있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3760억원으로, 전년보다 3169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판매량은 23만7044대로 10년 사이 70.7%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국내 점유율도 9%에서 3.2%로 떨어졌다.


한국GM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는 임금에 대한 입장차가 큰 것 같다”며 “아직 협상이 진행 중이라 어떤 결과로 마무리 지을 수 있을 진 모르겠다”고 설명했다.


전기자동차 생산 설비를 두고서도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노조는 오는 11월 이후 가동을 멈추는 부평2공장에 전기차 생산을 유치해달라고 요구 중이나, 한국 GM은 권한이 없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스티븐 키퍼 GM 수석부사장 겸 GMI 사장은 한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을 뿐더러, 한국GM은 이미 2025년까지 글로벌 GM 전기차 10개 모델을 국내에 들여와 출시할 계획을 세운 상태다.


한국GM 관계자는 “신차 관련된 얘기는 협상마다 항상 나왔던 아젠다(agenda)”라며 “요즘 전기차 수요가 늘다보니 전기차에 대한 부분을 요구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XM3가 생산되고 있다. ⓒ데일리안 박영국 기자

르노코리아에서는 노조가 이미 파업권을 확보해 파업 전운이 더욱 짙게 깔리고 있다.


노조는 지난달 13~14일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하기 위한 쟁의행위를 놓고 찬반투표를 진행해 조합원 재적인원 대비 71.9% 찬성으로 가결시켰다.


지난달 15일에는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해 부산지방노동위원회가 조정회의를 진행했지만, 사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해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졌다.


노조는 “쟁의권이라는 강력한 무기로 사측을 압박해 우리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교섭과 투쟁에 모든 역량을 쏟아부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대 쟁점은 ‘다년 임단협 합의’다. 사측은 불필요한 노사갈등을 줄이고 안정적인 신차 생산을 위해 올해부터 2024년까지 3년간 기본급 인상을 반영한 임단협 체결을 요구했으나, 노조는 노동3권을 없애 노조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외에도 노조는 ▲기본급 월 9만7472원 인상 ▲임금피크제 폐지 ▲계약직 전원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했으나, 이와 관련된 논의는 ‘다년 임단협 합의’ 문제로 진전되지도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계속 3년에 한번 씩 임금협상을 하자는 게 아니라 2024년에 신차를 준비해야하니 이 기간만이라도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가지고, 신차 개발에 집중하자는 의미로 제시한 것”이라며 “흔한 사례가 아니다 보니 노조 측에서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선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협의가 이뤄져야, 다른 부분에 대한 협상도 수월히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