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맛맛60] ´득달같다´, ´득돌같다´

입력 2008.06.26 08:54  수정

´아´ 다르고 ´오´ 다른...

속담에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는 말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 다르고 ´오´ 다르다.

´득달같다´는 ´잠시도 늦추지 않다´는 뜻이고,

´득돌같다´는 ´조금도 지체함이 없다´는 뜻이다.

여기까지만 본다면 ´늦추지 않다´나 ´지체함이 없다´나 대동소이하다. "아버지는 아들의 잘못을 득달같이/득돌같이 다그쳤다.", "사업은 득달같이/득돌같이 추진되었다." 등으로 쓸 수 있겠다.

눈여겨볼 것은 ´득돌같다´의 경우 한 가지 뜻이 더 있다는 점이다. ´뜻에 꼭꼭 잘 맞다´는 뜻이 따로 있어 "그 사람은 득돌같아서 일에 실수가 거의 없다.", "애초 계획한 대로 득돌같이 일이 진행되었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