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
SK텔레콤(SKT)은 단말기 식별번호가 유출되지 않아 복제폰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밝혔다.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제5차 전체 회의에서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민은 해커가 유출된 유심정보로 복제폰을 만들면 내 휴대폰에 있는 금융 앱이나 공인인증서 연락처 등 모든 정보를 똑같이 담은 복제폰이 만들어지는 것을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류정환 SKT 부사장은 "단말기 식별번호가 유출되지 않아 (복제폰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답했다.
해킹 사고 이후 어느 고객 계좌에서 5000만원이 빠져나갔다는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하자 류 부사장은 "그것은 우리와 무관하다"고 말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신고가 늦어진 이유를 물었다.
유 사장은 "침해와 유출이 있다"면서 "18일 오후 11시 20분에 확인한 것은 침해 사실이고 신고는 24시간 내 하게 돼있다. 정보 파악 과정에서 침해 신고를 놓쳤고 유출 확인은 19일 오후 11시 40분이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유출을 확인하면 72시간 내 신고를 하게 돼있다. 20일 회의하면서 침해 신고가 안 된 것을 확인하고 보도자료를 냈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이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것인가"라고 따져묻자 유 사장은 곧바로 "문제 있다. 죄송하다"고 답했다.
KISA 기술 지원을 SKT가 거부한 것에 대해 대해 류정환 SKT 부사장은 "기술 지원 사항은 저희 판단했을 때 중소기업에 한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이 "KISA를 무시한건가" 묻자 류 부사장은 "절대 아니다"라고 부정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