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점업체·소비자 바짝 땡기는 '땡겨요'…배달 시장 '지각변동' 이끌까

남가희 기자 (hnamee@dailian.co.kr)

입력 2025.05.07 07:30  수정 2025.05.07 07:30

땡겨요, '서울배달플러스 가격제' 도입으로 혜택 강화

신한은행, 소비자 우대금리 제공·입점업체 융자지원

업계 반응은 '글쎄'…"소비자 유인책 고심해야"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배달+ 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서울배달+ 가격제' 치킨프랜차이즈 도입 상생 협약식에서 치킨프랜차이즈 대표 등 참석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 공공 배달앱 '땡겨요'가 입점업체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혜택을 강화하는 등 활성화에 나섰다. 배달의민족(이하 배민)과 쿠팡이츠 '투톱' 체제였던 배달앱 시장에서 지각변동을 이끌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와 신한은행(배달앱 땡겨요 운영사)이 공공 배달 서비스 ‘서울배달플러스(+)땡겨요’의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우선 소비자 혜택을 강화했다. 최대 30%의 소비자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서울배달플러스 가격제’ 도입을 통해 소비자 지출 부담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제도는 서울시와 신한은행, 프랜차이즈 본사가 할인 비용을 나눠 부담해 소비자가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소비자가 서울배달플러스 땡겨요를 통해 주문할 경우, 배달 전용 상품권(15%), 땡겨요 할인 쿠폰(5%), 프랜차이즈 본사 프로모션(10%)이 동시에 적용돼 최대 3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신한은행은 신한SOL뱅크 전용 상품인 땡겨요 적금 가입 시 2000원권 할인쿠폰 5장, 땡겨요 전용 입출금 통장 개설 시 2000원 할인쿠폰 6장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연말까지 진행하며 소비자들을 유인하고 있다. 특히 '땡겨요 적금'은 배달앱 회원 가입만 해도 연 0.5%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아울러 땡겨요는 그간 약점으로 지적돼 온 입접업체 수 늘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우선 배달앱 이용 비중이 가장 높은 치킨 업계를 시작으로 앱 사용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25일 bhc, BBQ, 굽네치킨 등 18개 주요 프랜차이즈와 신한은행, 한국외식산업협회 등과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가맹점 입점을 유도 중이다.


오는 6월에는 200억원 규모의 ‘서울배달상생자금’을 조성해 공공앱 입점 소상공인에게 저리 융자 지원도 제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의 시선은 냉랭하다. 우선 플랫폼 자체의 경쟁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은 상황이다. 배달앱 땡겨요를 통해 서울배달플러스를 운영 중인 신한은행의 시장 점유율은 약 3%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배달의민족(58.7%), 쿠팡이츠(22.7%), 요기요(15.1%) 등 상위 3개 플랫폼이 전체 시장의 96%를 차지하고 있어 타 서비스가 진입할 여지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땡겨요는 입점 업주에게 2%의 낮은 수수료를 적용하고, 정산 주기를 단축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내세우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맹 업주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30% 할인 혜택이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혜택의 경우 소비자가 서울사랑상품권 등 지역화폐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소비자 유인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또 민간 배달앱들의 경우 멤버십 제도를 통해 무료 배달을 시행하고 있는 것과 달리 땡겨요에서는 소비자가 배달비를 부담해야 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실질적 유인으로 이어지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서울시 등 정부의 지원으로 할인 예산을 편성했지만 할인 프로모션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 지도 물음표다. 서울시와 신한은행,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가 분담하는 형태지만 비용 부담이 누적될 경우 단기 프로모션으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직 정확한 분담률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현재 배민이나 쿠팡이츠는 멤버십을 통해 배달비 무료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면 소비자들이 땡겨요 같은 공공배달앱에 들어갈 유인이 없다"며 "공공배달앱들은 소비자들을 잡는 것부터 먼저 고민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어쩌다 한번 지원하는 것으로는 도움이 안 된다. 세금은 세금대로 나가는 결과만 초래할 수 있다"며 "지속적 혜택 지원을 고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남가희 기자 (hnam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