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46.0% 국민의힘 39.0%…오차범위밖 격차 [데일리안 여론조사]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입력 2025.05.08 07:00  수정 2025.05.08 08:45

데일리안·여론조사공정㈜ 정례조사

직전조사比 민주당 1.6%p↑ 국힘 2.4%p↑

남성 '국민의힘'·여성 '민주당' 각각 선호

6070 제외하면 전 연령서 민주당 선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김재연 진보당 대선 후보, 권영국 정의당 대선 후보,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 등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참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6·3 조기 대선 정국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압도적 우위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당 지지율에서도 민주당이 국민의힘보다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5~6일 무선 100% ARS 방식으로 '어느 정당을 조금이라도 지지하는가'를 물은 결과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6.0%, 국민의힘 39.0%로 각각 집계됐다. 양당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p였다. 직전 조사(지난달 15일) 대비 민주당은 1.6%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2.4%p 각각 올랐다.


민주당 지지율은 충청과 TK(대구·경북), PK(부산·경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국민의힘 지지율보다 우세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서울 '민주당 39.4% vs 국민의힘 36.8%' △인천·경기 '민주당 50.2% vs 국민의힘 34.2%' △대전·세종·충남북 '민주당 42.1% vs 국민의힘 42.4%' △광주·전남 '민주당 66.2%, 국민의힘 24.4%' △대구·경북 '민주당 35.1% vs 국민의힘 55.5%' △부산·울산·경남 '민주당 37.7% vs 국민의힘 49.9%' △강원·제주 '민주당 60.8% vs 국민의힘 34.3%' 순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6070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민주당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 가운데 60대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에서 격차를 보였다.


순서대로 보면 △20대 이하 '민주당 45.4% vs 국민의힘 37.0%' △30대 '민주당 39.7% vs 국민의힘 37.9%' △40대 '민주당 54.3% vs 국민의힘 27.0%' △50대 '민주당 54.4% vs 국민의힘 30.7%' △60대 '민주당 43.8% vs 국민의힘 49.9%' △70대 이상 '민주당 35.0% vs 국민의힘 53.6%' 순으로 조사됐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5~6일 무선 100% ARS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6%, 국민의힘 39.0%로 집계됐다. 양당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p였다. 직전 조사(지난달 15일) 대비 민주당은 1.6%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2.4%p 각각 올랐다. ⓒ데일리안 박진희 그래픽디자이너

성별로는 남성이 국민의힘을 지지했고, 여성은 민주당을 꼽았다. 구체적으로 △남성 '민주당 40.7% vs 국민의힘 44.6%' △여성 '민주당 51.2% vs 국민의힘 33.5%'로 나타났다.


제3지대 정당에서는 개혁신당의 지지율이 2.2%로 가장 높았다. 그 뒤는 조국혁신당이 1.9%를 얻었다. 이어 △진보당 0.7% △기타정당 30.% △지지정당이 없다 6.5% △잘 모르겠다 0.6% 순이었다.


서요한 여론조사공정㈜ 대표는 "일반적으로 선거가 가까워올수록 소수정당과 무당층은 줄어들고, 메이저 정당으로 지지세가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다"며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동반상승하는 현상은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6일까지 전국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방식 ARS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5.2%였으며 최종 1008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지난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림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데일리안 여론조사'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