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기업인 ㈜스카이브는 자사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 3D 의료영상 변환 및 분할 시뮬레이션 솔루션 ‘ZIFT’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 했다고 밝혔다.
ZIFT는 CT 및 MRI 영상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분석해 정형외과 해부학 구조물인 뼈, 관절은 물론 연골까지 자동으로 3차원 재구성하고 정밀 분할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소프트웨어다. 기존 솔루션은 CT 영상에 한해 3D 재구성이 가능했지만, MRI 영상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해야 했다. 이로 인해 국내외 기업들은 로봇 수술이나 환자 맞춤형 수술 시 CT 기반 재구성에만 의존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CT는 연골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기 어렵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ZIFT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며, MRI 기반 연골 영역까지 정밀하게 재현함으로써 정형외과 수술에서 더욱 정확한 진단과 계획 수립이 가능해졌다.
생성된 고정밀 3D 모델은 환자 맞춤형 수술 계획과 시뮬레이션은 물론, 실제 수술기구 3D 프린팅 출력까지 연계할 수 있어 임상 현장에서 높은 활용 가치를 지닌다. 특히 ZIFT는 빠른 처리 속도를 자랑하는 AI 기반 분할 엔진을 탑재하고 있어 병변 구조 분석과 수술 시뮬레이션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의료진의 정밀한 판단을 지원하고, 수술 정확도 및 환자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다.
㈜스카이브 강경탁 대표는 “ZIFT는 단순한 영상 분석 도구를 넘어, 영상 기반 수술 전략을 구체화하고 현실화할 수 있는 정형외과 특화형 진단-계획-실행 통합 솔루션”이라며, “국내외 정형외과 시장에서 ZIFT만의 실전성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ZIFT를 기반으로 한 MRI 슬관절(무릎) 영상의 뼈 및 연골 3D 재구성 기술은 현재 강남세브란스병원 조병우 교수, 신촌세브란스병원 권혁민·박관규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박준영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며, 관련 논문은 해외 저널에 투고되어 심사 중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