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호국보훈의 달 맞아 보훈단체 간담회…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입력 2025.06.18 14:51  수정 2025.06.18 14:52

'감사의 정원' 추진 상황 및 가치 설명…'제2보훈회관' 구상 공유

보훈 관련 예산 1000억원 편성…보훈명예수당·참전명예수당 등 인상

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서울시청 간담회장에서 열린 '보훈단체 대표자 간담회'에 참석한 보훈단체장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18일 낮 12시 서울시청에서 보훈단체와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는 국가유공자의 헌신과 희생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시가 추진하는 보훈 예우 정책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류재식 6·25참전유공자회 서울시지부장, 김부길 월남전참전자회 서울시지부장, 김대하 광복회 서울시지부장, 정진성 무공수훈자회 서울시지부장 등 보훈단체장 15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국가유공자와 6·25 참전 22개국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은 '감사의 정원' 추진 상황과 가치를 설명하며 보훈의 가치를 기억하고 일상에서 새기는 출발점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광화문광장에 조성되는 감사의 정원은 2027년 완공이 목표다.


또 보훈단체들의 염원이자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활동 여건 조성을 위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용산전자상가지구(나진상가 17·18동 개발부지)내 신축예정인 '제2보훈회관'에 대한 구상도 공유했다.


시는 현재 10만명이 넘는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에 대한 예우 강화를 위해 올해도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하는 등 보훈 지원 대상과 규모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실제로 시는 지난 2022년 생존애국지사에 지급하는 '보훈명예수당' 인상(월 20만원→월 100만원)을 시작으로, 2023년에는 국가유공자 본인, 선순위 유족 중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에게 지급하는 '생활보조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상향했다. 지난해에는 '참전명예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15만원으로 높였다.


이와 함께 국가유공자의 품격 있는 마지막을 위한 '장례 선양 서비스'도 대폭 확대한다. 장례 선양 서비스는 유족 요청 시 조문 의전, 태극기 전달, 고인 운구 에스코트 등 장례의전 전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예산과 인력 부족 등으로 서비스 신청 건수의 약 40% 지원에 머물렀는데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관련 예산 증액, 기존 대비 두 배 규모인 80%까지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제도 개선을 통한 유족 예우 사각지대도 줄여나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독립유공자의 선순위 유족이 사망할 경우 그 배우자도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난 4월 관련 조례를 개정했다. 이를 통해 독립유공자 헌신에 대한 예우가 생존 유족에게까지 온전히 이어지도록 하고 향후 추가 지원제도 개선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국가유공자와 유족의 노고를 위로하고, 보훈의 가치를 함께 나누기 위한 위문금도 6월 중 지급(1회)한다.


오 시장은 "올해는 광복 80년, 6·25전쟁 75년이 되는 해로, 역사의 고비마다 나라를 지켜낸 분들이 바로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이라며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을 정책과 공간으로 연결·발전시켜 일상 속에서 존경받고 기억되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