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대서 다부처 밀원수종 개발 심포지엄
질병 진단부터 생태계 보전까지 중간성과 발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1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기상이변 대응을 위한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 및 꿀벌 보호·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 성과공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특별세션으로 마련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5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연구사업의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공동연구에는 검역본부를 비롯해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총 484억 원을 투입해 꿀벌 보호와 밀원수종 개발, 생태계 보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농작물 생산량의 약 35%는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꿀벌은 핵심 수분 매개체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살충제 사용, 서식지 파괴, 꿀벌응애 등 다양한 요인으로 꿀벌 개체수는 급감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꿀벌 질병 진단 및 제어기술, 스마트 양봉관리, 밀원수종 개발, 화분매개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주요 과제별 중간 결과가 발표된다.
검역본부는 ▲행동 이상 증상 꿀벌의 유전자 진단법 개발 ▲스트레스 지표 발굴 및 관리기술 연구 ▲꿀벌응애 관련 바이러스가 봉군 소실과 행동 이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소개한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이상기온 대응 스마트 양봉관리 기술 ▲꿀벌 최적 영양분석 및 건강한 봉군 유지기술 ▲농업생태계 내 화분매개벌 서비스 증진 ▲양봉산물 특성 및 효용 가치 제고 성과를 발표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종 개발과 밀원단지 조성 모델, 국립기상과학원은 밀원식물 개화시기 예측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성과를 각각 공유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화분매개곤충 인벤토리 구축과 생태계서비스 평가모델 개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정희 검역본부장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을 맞아 꿀벌 보호를 위한 공동연구 성과를 공유하게 돼 의미가 크다”며 “각 부처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을 강화해 양봉산업과 생태계를 함께 지켜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