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기부 플랫폼 해피빈 20주년 맞아
누적 참가자 1200만명…1인 평균 5.17회 기부
모바일 서비스 도입 후 기부금 564% 증가
"국내 온라인 기부문화 성장에 기여할 것"
올해 20주년을 맞은 온라인 기부 플랫폼 네이버 해피빈의 누적 후원금이 3000억원을 돌파했다.
10일 네이버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해피빈을 통해 기부에 참여한 이용자는 1200만명, 누적 후원액은 3000억원을 넘어섰다.
최근 3년 간 해피빈 1인당 평균 기부금액은 약 4300원, 평균 기부 횟수는 5.17회였다. 적은 금액도 일상 속에서 부담 없이 자주 기부하는 '나노 기부'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잡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해피빈에서 개인 최고, 최다 기부자는 20년간 약 5만3900회에 걸쳐 1900만원 이상을 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피빈은 변화하는 기술 환경 및 사회적 흐름에 발맞춰 온라인 기부 접근성을 높여왔다. 2014년 3월 모바일 서비스를 도입하며 기부 문턱을 낮췄고, 그 결과 모바일 서비스 출시 이후 결제 기부자는 연평균 564% 이상 증가했다.
또, 2015년 6월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기능을 추가한 후 2015년 대비 2016년 결제 기부 금액은 19%, 2017년에는 전년 대비 26% 상승했다.
해피빈은 이슈별 모금함부터 일자리 창출, 공정무역 등을 위한 펀딩, 소셜벤처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감가게 등 일상 속에서 여러 기부 캠페인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설된 해피빈 모금함은 총 15만개에 달한다. 해피빈은 결제 수수료 등을 받지 않고 기부금 100%를 단체에 전달하며 사용 내역도 공개하고 있다.
네이버에서는 PC로 카페 글을 쓰거나 지식인 답변을 채택받는 등 UGC(사용자 창작 콘텐츠) 플랫폼 활동을 통해 100원의 가치를 가진 해피빈 콩을 받아 기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누적 콩 모금액은 436억원에 이른다.
특히 긴급 재해재난 등이 발생했을 경우 해피빈을 통한 기부 참여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네이버는 긴급 상황 발생 시 검색창 하단 등에 해피빈 모금을 알리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를 포함해 2022년 삼척 산불,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2025년 경상·울산 지역 산불 피해 등 재해재난 발생 시 해피빈을 통해 모금된 기부금은 6년간 누적 418억원이다.
아울러 해피빈은 소규모 단체가 기부 참여자들과 소통하고 접점을 만드는 창구 역할도 해왔다. 소규모 비영리기관이나 지역 기반의 시민단체가 해피빈에서 다수의 참여자와 연결되며 모금을 진행하는 식이다.
백혈병 및 소아암 환아를 돌보는 쉼터를 운영하는 '한빛사랑후원회'는 2014년부터 해피빈에서 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목포에서 아동 보호 시설을 운영하는 단체 '목포우리집'은 명절, 방학, 크리스마스 등 기부금이 특히 많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모금함을 개설하고 모금 후기를 전하고 있다.
네이버 해피빈은 향후에도 지역, 청년, 환경 등 다양한 분야로 지원을 확장해 지속 가능한 온라인 기부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 해피빈은 인터넷 시대부터 모바일의 진화와 AI(인공지능) 파고까지 디지털 환경의 발전에 맞춰 기부의 형식과 참여 방법 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일상 속 기부 활성화에 기여해왔다"며 "앞으로 AI 등 첨단기술을 더하고, 커머스, 플레이스 등 서비스 연계 등을 통해 사용자들이 기부 경험을 다양하게 확대할 수 있도록 꾸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