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 현안 조율 위해 경제 사령탑 직접 방미
2.2%로 재상승한 소비자물가…민생 대책 총력전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취임 직후 한미 관세 협상의 막바지 조율을 위해 미국 방문을 추진한다.
구 부총리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협의가 되는 대로 최대한 빨리 미국을 방문해 현지 관계자들과 면담하겠다”며 “우리 정부의 현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 단체 협상이 최대한 실용적이고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주 내에 방미 계획이 있다”는 질문에 “아직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으나 최대한 빨리 가도록 하겠다”고 신속한 대응 의지를 피력했다. 또 산업부 장관과 동행 여부에 대해서는 조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다.
이번 미국 방문 배경에는 미국 정부가 내달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예고한 데 따른 긴박함이 크게 작용했다. 정부는 통상 현안을 둘러싼 ‘2+2 한미 통상협의체’ 정상화 등도 병행해 추진한다.
경제 사령탑 간 직접 담판을 통해 국내 산업 충격을 완화하고, 농산물 시장 개방 등 민감 사안도 선제적으로 조율한다는 구상인 셈이다.
이날 구 부총리는 “최대한 빨리 만나서 우리 정부의 어떤 상황에 대해서 설명도 하고 이해를 구해서 협상이 최대한 잘 되도록 고객과 실용에 맞게 되도록 노력하도록 하겠다”고 현안에 임하는 자세를 분명히 했다.
국내 경제 상황과 관련해 구 부총리는 “단기적으로는 수요라든지 이런 상황으로 인해서 아마 물가, 특히 생활 물가 이런 부분을 진짜 안정화 시켜야 한다”며 “국민이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이다. 단기 과제로는 물가 안정을 첫 번째로 꼽고 싶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혁신, 관세 대응 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 앞으로 국민 여론도 듣고 소통할 기회를 자주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구 부총리는 소비쿠폰 시행 점검과 물가 상황을 살피기 위해 이날 오후 공주 산성시장을 찾는다. 이 자리에서 상인회 관계자 등을 만나서 현실적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구 부총리의 이같은 행보는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2025년 6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2.2%로 상승, 5월 대비 오름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식품 및 비알코올음료, 가구·가정용품 등 국민 체감이 높은 품목들의 가격 상승 폭이 평균보다 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생활물가는 최근 5년간 누적 20% 이상 올랐다.
정부는 올해 최우선 과제로 생활물가 안정을 설정해 모두 11조6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농축수산물 할인, 에너지·농식품 바우처 지급, 과일류 수입관세 추가 인하, 명절 성수품 공급 확대 등이 대표 대책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하반기 물가 안정을 낙관하기 이르다고 지적한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관세 인상 정책, 공급망 불안, 환율 변동 등 여전히 다양한 물가 상승 요인이 산재해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