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23만 달러 규모 농기계 현지 기증
현지 대통령령·내각명령에 KOPIA 성과 반영
50억원 규모 5개년 벼 종자 생산·보급 사업 본격화
한국 농업기술과 농기계가 우즈베키스탄 벼 산업 생산성 향상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주관하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우즈베키스탄 센터는 23일(현지 시간) 타쉬켄트 벼 연구소에서 23만 달러 상당의 한국산 농기계 기증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는 주한우즈베키스탄 대사, 우즈베키스탄 농업부 장관, 농업지식혁신청장 등 현지 정부 고위 인사와 사업 참여 농업인 등 약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기증된 한국산 농기계는 기초 작업, 이앙, 재배, 수확에 전 주기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최신 장비다. KOPIA 우즈베키스탄 센터는 한국 농기계 전문가 초빙을 통해 현지 농업인에게 사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지에 한국 농기계 기술력과 효율성을 알리고, 동시에 우리 농기계 기엽의 해외 진출 경쟁력 제고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지원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50억원 규모로 추진되는 ‘다수성 벼 종자 생산 및 확대 보급’ 사업의 일환이다.
해당 사업은 개발도상국 농업 현장 맞춤형 기술 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도 이 같은 KOPIA 사업 성과를 국가정책에 공식 반영했다.
지난 2023년 8월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KOPIA 사업 결과를 직접 보고받은 뒤 ‘벼 생산자 지원을 위한 대통령령’을 발표했고, 올해 7월 2일에는 아리포프 총리 명의로 내각명령을 공포하며 법적, 제도적 지원체계를 구체적으로 마련했다.
현지 정부는 KOPIA 센터와 협력 아래 우수 벼 종자 생산 확대, 농기계 도입, 농업기술 역량 강화 등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9월에는 전국 단위 벼 종자 보급을 담당할 ‘벼 우량종자 증식센터’가 공식 출범한다. 농진청도 우즈베키스탄 농업부 및 벼 연구소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해당 사업이 현지 농업정책의 시범사업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유은하 농촌진흥청 국외농업기술과장은 “KOPIA 우즈베키스탄 사업의 성과가 현지 농업 정책에 공식 반영된 것은 한국 농업기술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향후에도 벼 종자 보급 확대 등 우즈베키스탄 농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