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입주 시스템 17개 중 3개 복구
업무 수기 처리로 현장 불편
연휴 후 현장 혼란 증가 가능성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고용노동부 전산시스템이 추석 연휴가 끝난 현재까지 여전히 복구되지 못하면서 민원인의 불편이 예상된다.
13일 노동부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로 데이터가 손실된 17개 전산시스템 중 3개가 복구 완료됐다.
노동부 관계자는 “현재 ‘과태료 관리 시스템’, ‘직원 학습관리 시스템(배우리)’, ‘퇴직연금 취급 실적 관리 시스템’이 정상화됐다”며 “‘노동부 KMC(산하기관)시스템’은 메일 기능이 정상화됐고, 일부 서버 기능만 복구하면 되는 막바지 작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요 시스템은 여전히 먹통인 상태가 지속되면서 노동·산업안전 분야 감독·신고사건은 수기 처리해야 하는 등 불편이 계속됐다. 당초 노동부는 이달 2일까지 ‘추석 명절 임금체불 신고센터’를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시스템이 멈추면서 신고센터는 사실상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국정자원 화재로 서비스가 마비된 노동부 주요 시스템은 ▲고용노동부 대표홈페이지 ▲노사누리(노동포털) ▲고용노동통계 정보시스템 ▲노사마루(중앙노동위원회 조정심판)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홈페이지 등이다.
노동부는 수기 처리와 현장 접수로 업무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지만, 장기간 노동사건과 산업안전 민원 현장에서의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긴 연휴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민원이 몰리기 시작하면서 현장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노동부 관계자는 “각종 인허가 접수 처리 등은 임시 노사누리를 구축해 활용하고 있다”며 “국정자원 화재 이후 민원 대응 지침도 각 노동관서에 전달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 전산 인프라의 집중 구조가 도마에 올랐다.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은 행정안전부 산하 중앙 서버의 핵심 허브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이 적용된 서버는 전체의 4.3%(28개)에 불과했다. 이는 700개가 넘는 시스템 중 95% 이상이 대전 한곳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박기웅 세종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정부 데이터 이중화의 물리적 이격 기준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며 “단순한 시스템 복제본을 만드는 것이 아닌 어떤 유형의 사고에서도 지속 가능한 복구 시스템이 준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