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식비·관리비 줄줄이 상승… '의식주 물가' 5년간 4.6% 올랐다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입력 2025.10.16 06:00  수정 2025.10.16 06:00

전체 물가(2.8%)보다 1.8%p 높아… 주거비·식비·의류비 모두 오름세

한경협 "에너지·유통비·인건비가 상승 주도… 구조적 대응 시급"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뉴시스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衣食住)’ 관련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며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한성대 김상봉 교수가 수행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의식주 물가가 연평균 4.6% 상승해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의식주 물가 중에서는 ‘주거(住)’ 부문이 연평균 5.5%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전기·가스·연료 요금이 연평균 7.0%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수도·주거 서비스(4.3%), 주거시설 유지·보수(4.0%)도 인건비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큰 폭으로 올랐다.


공동주택 관리비는 2019년 ㎡당 2245원에서 올해 2988원으로 33.1% 증가했다. 전용 84㎡ 기준으로는 월 18만8580원에서 25만992원으로 늘어난 셈이다.


식생활(食) 부문은 연평균 4.6% 상승했다. 식료품(5.2%), 음식서비스(4.0%), 비주류 음료(3.9%) 등이 모두 올랐다. 보고서는 국제 농식품 가격 상승과 운송비·인건비 등 유통비용 증가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농산물 유통비용 비중은 2019년 47.5%에서 2023년 49.2%로 높아졌고, 세계식량가격지수(FAO 기준)도 2021년 이후 120을 상회했다.


외식업계 역시 식재료비(연 9.8%), 인건비(연 5.8%), 임차료(연 4.6%), 배달 수수료(연 11.3%) 등이 모두 오르며 영업비용 부담이 가중됐다.


의류(衣) 물가는 연평균 2.9% 상승했다. 보고서는 다품종·소량생산 구조, 브랜드 선호도, 재고 부담, 인건비 및 운송비 상승 등 복합 요인이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경협은 의식주 물가가 전반적으로 높은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로 국제 에너지·농식품 가격 상승, 높은 유통비용, 인건비 부담 등 구조적 요인을 지목했다.


보고서는 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AI 수요예측 등 의류 제조 디지털 혁신 ▲수입 농식품 가격 완충장치 마련 및 유통 효율화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 시설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의류 부문은 로봇 자동화를 통한 생산 효율화, 식생활 부문은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와 스마트팜 확충, 주거 부문은 LED 조명 설치와 단지 간 공동관리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한경협 관계자는 “국제 요인과 구조적 비용 상승이 맞물리며 민생 체감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며 “정책적 완충장치 마련과 생활밀착형 에너지 절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