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을 잇다’ 주제로 미래기술원서 첫 학술대회 열려
머신러닝 기반 용접 강도 예측 연구팀 대상 수상
SK온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미래기술원에서 제1회 학술대회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15일 ‘미래기술을 잇다’란 주제로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된 행사에는 박기수 SK온 미래기술원장과 이장원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참석했다.
SK온은 이 자리에서 시스템, 공정, 셀 등 각 분야에서 배터리 품질과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공법과 기술을 제안한 구성원을 선발해 시상했다.
심사는 주제 적합성, 연구 차별성, 성과 기여도, 논문 창의성, 실용성 5가지 기준에 따라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됐다. 총 27건의 연구 과제가 1차 심사를 통과했고, 2차 심사에서 최종 3건이 선정됐다.
대상에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이용해 용접 강도를 예측하고 용접 불량 검출 방법을 제안한 연구팀이 선정됐다.
고강도 알루미늄 포일의 캠버(얇은 알루미늄 포일 제조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틀어지는 현상) 개선 방안, 셀을 방치할 경우 성능 저하 원인 등을 분석한 연구팀은 각각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받았다.
최장욱 서울대 교수는 기조연설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미래 이차전지 기술 현황과 전망을 제시했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SK온 구성원들과 구체적인 기술 관련 질문을 주고받으며 산학 현장 트렌드를 논의했다.
이석희 SK온 최고경영자(CEO)는 영상 축사에서 "이번 학술대회의 모든 우수 연구는 우리 현장의 어려움을 혁신적으로 풀어낸 값진 성과"라며 "연구 중심 조직문화 확산을 기술 혁신의 원동력으로 삼아 끊임없이 도전하고 연구 역량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SK온은 지난 8월 ‘SK온 배터리연구원’의 명칭을 ‘SK온 미래기술원’으로 변경했다. 미래기술원은 ▲전고체 배터리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각형 배터리 등 케미스트리와 폼팩터를 다변화하고, ‘가격 경쟁력’과 ‘제품 안전성’을 확보할 기술을 개발 중이다. 최근에는 미래기술원 내에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