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밖 난타전 속에 삼성 마운드 두들겨 PS 첫 홈경기 승리
PO 1차전 승리에도 에이스·마무리 불안으로 개운치 않은 뒷맛
어렵사리 승리는 차지했지만 한화 이글스 김경문 감독의 마음은 무거웠다.
한화는 18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펼쳐진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5전3선승제) 1차전에서 선발 코디 폰세가 6실점으로 좋지 않았지만, 손아섭 동점타-채은성 역전타 등을 묶어 9-8 승리했다.
정규시즌 ‘4관왕’에 빛나는 선발 코디 폰세가 6이닝 6실점으로 기대 이하의 피칭을 했지만, 6회까지 버티면서 승리투수가 됐다. 타선에서 문현빈 2안타 3타점, 손아섭 동점타, 채은성의 결승 2타점 적시타가 터지면서 삼성을 제압했다.
역대 PO(5전3선승제)에서 1차전 승리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 확률은 76.5%(34회 중 26회 진출)에 달한다.
만원 관중 앞에서 첫 포스트시즌 홈경기를 승리로 장식했지만, 한화 김경문 감독은 활짝 웃지 못했다. 믿었던 에이스 폰세와 마무리 김서현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정규시즌 1점대 평균자책점(1.89)을 찍으며 KBO리그 역대 한 시즌 최다 탈삼진(252개) 신기록을 세운 폰세는 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승률 4관왕에 오른 KBO리그 최정상급 투수. 이날은 6회(105구)까지 8개의 삼진을 잡으면서도 7피안타 6실점으로 좋지 않았다.
2회초에는 3실점하며 초반 흐름을 내줬다. 타선의 힘으로 5-3 역전한 직후 수비에서도 2실점하며 5-5 동점을 허용했다. 4회초에는 삼성 김태훈에게 역전 솔로 홈런을 얻어맞기도 했다. 올해 가장 좋지 않은 내용의 투구가 PO 1차전에서 나오고 말았다.
다행히 손아섭-채은성의 적시타가 터지면서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고 내려왔고, 문동주 역투에 이은 김범수 세이브로 승리투수가 됐지만 이날의 투구내용은 마음에 걸린다.
에이스의 부진도 찝찝하지만 김경문 감독은 더 우려하는 것은 마무리 김서현이다.
광속구(162km)를 뿌리며 7·8회를 무실점으로 틀어막은 문동주 뒤를 이어 9회 마운드에 오른 김서현(정규시즌 33세이브/평균자책점 3.14)은 시즌 막판처럼 불안했다. 3점의 리드(9-6)에서 등판한 김서현은 선두타자 이재현에게 솔로 홈런을 얻어맞았다. 이후 김태훈에게 좌전 안타, 이성규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면서 1점 차로 쫓겼다.
1점대 평균자책점을 찍었던 전반기와 달리 5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좋지 않았던 후반기에 드러난 김서현의 불안요소가 포스트시즌 첫 경기에서도 터져 나온 셈이다.
김경문 감독이 직접 마운드를 찾아 김서현을 안정시키려 했지만 의도대로 되지 않았다. 결국 김서현 강판을 결정한 김경문 감독은 좌완 김범수를 투입해 승리를 매조지했다. 0.1이닝 3피안타 2실점 부진으로 큰 위기를 불러온 김서현은 더그아웃에서 답답한 듯 한숨을 내쉬며 경기를 지켜봤다.
김경문 감독도 “(김)서현이가 살아나야 한다”며 김서현 투구에 아쉬움을 표했다. 정규시즌이라면 자신감 충전할 기회를 줄 수 있지만, 단기전인 가을야구에서는 그럴 여유가 없다. 김서현이 전반기 투구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한화의 뒷문도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마운드가 강점인 한화는 에이스 폰세와 마무리 김서현의 동반 부진으로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겼다.
한화는 2차전 선발로 폰세와 원투펀치를 이룬 라이언 와이스를 예고했다.
와이스는 정규시즌 30경기 16승5패 평균자책점 2.87 207탈삼진 등 한화 선발 마운드를 든든하게 지켰다. 삼성을 상대로는 좋지 않았다. 5차례 등판해 2승3패 평균자책점 4.05를 기록했다. 전반기 상대했던 것보다 후반기 나아지긴 했지만 시즌 평균자책점 보다 삼성을 상대로 한 평균자책점이 크게 높다는 것은 찝찝하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