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청도 열차사고' 두 달 전 철도공단에 안전사고 우려 공문 [2025 국감]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입력 2025.10.21 12:48  수정 2025.10.21 12:48

전국 1265곳 철도구간, '노반' 폭 좁아

작업자 보행로 확보 필요 지적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한 8월 19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경부선 철로에서 경찰과 소방, 코레일 등 관계들이 사고가 난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 뉴시스

지난 8월 경북 청도군 경부선 열차 사고가 발생하기 두 달 전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은 철도시설 개선을 담당하는 국가철도공단에 사고 구간 작업자 이동로 폭이 너무 좁아 위험하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레일은 6월 초 철도공단에 '작업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 시설 개량 사업 반영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전국 1340개 구간 철도 구간에서 열차가 지날 때 작업자의 대피 공간이 부족하거나 안전 난간이 부실해 추락 사고가 우려되는 곳이 담겼다.


보행로를 확보해 대피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곳은 1265곳, 이 중 822곳은 철로 궤도를 부설하기 위한 토대인 '노반'의 폭이 지나치게 좁다고 코레일은 짚었다.


통상 선로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은 작업 장소로 이동할 때 노반을 따라 걸어야 한다. 이 때문에 노반이 충분히 넓어야 열차가 접근할 때 몸을 피할 수 있다.


노반 폭이 부족한 곳으로 지적된 곳에는 경부선 열차 사고가 발생한 청도군 화양읍의 남성현역∼청도역 구간도 포함됐다. 이 구간의 보행로 폭은 0.2m에 그쳐 사람이 제대로 걷기 어려운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레일이 철도공단에 위험 사실을 알린 뒤 신속하게 시설 개선이 이뤄졌더라면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진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인 경찰은 합동 감식을 통해 측정한 선로와 열차, 노반 폭 등을 비교해 열차 접근을 인식한 근로자들이 당시 피할 공간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이연희 의원은 "사고 이전부터 안전 우려가 제기됐으나 시설 개선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인명피해가 발생한 점은 안타까운 사실"이라며 "정부와 철도공단은 다시는 이런 비극이 없도록 작업자 안전 확보가 필요한 구간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시설 개량에 착수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