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 판매 사기·SMS 스푸핑·애플 ID 피싱 등 범죄 유형·대응 방안 공유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가상자산 관련 사기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이용자 안전 가이드라인을 22일 제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사기 유형은 ▲계정 판매 사기 ▲SMS 스푸핑 ▲애플 ID 피싱 등 세 가지다.
계정 판매 사기는 금전적 보상을 미끼로 이용자의 바이낸스 계정과 연결된 은행 계좌 판매를 유도한 뒤 이를 사기 범죄에 이용하는 수법이다. 명의자가 직접 범죄에 가담하지 않아도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 바이낸스는 타인과의 계정 공유 및 판매는 대부분의 거래소와 금융기관에서 금지된 행위라고 강조하며 거래 내역 확인, 2단계 인증(2FA), 자격 증명 주기적 갱신을 권고했다.
SMS 스푸핑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을 사칭해 악성 링크나 가짜 연락처가 담긴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용자의 계정 정보나 자금을 탈취하는 방식이다. 바이낸스는 의심 문자 수신 시 경찰 등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안티 피싱 코드' 및 '바이낸스 Verify'를 활용해 출처를 확인할 것을 권장했다.
애플 ID 피싱은 애플 공식 알림을 위장한 허위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이용자의 패스워드, 페이스 ID, 패스키 등을 탈취하는 수법이다. 바이낸스는 아이클라우드 계정의 2단계 인증, 신뢰 기기 확인을 기본 보안 수칙으로 안내하고 가상자산 관련 정보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바이낸스는 사용자 대상 보안 교육 콘텐츠를 지속 발행하고 있으며 실제 범죄 사례를 기반으로 한 예방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동시에 글로벌 법 집행기관과 협력해 범죄 대응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닐스 앤더슨-뢰드 바이낸스 금융정보분석 국장은 "이번 가이드라인은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예방 중심의 조치 중 하나로, 이용자가 사기 수법을 미리 인지하고 스스로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공개했다"며 "앞으로도 기업 차원의 범죄 피해 예방 교육 활동, 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가상자산 이용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