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품귀에 대출규제까지…‘공공지원 민간임대’ 대안 부상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입력 2025.10.25 07:00  수정 2025.10.25 07:00

경기도 아파트 전세매물, 최근 3개월간 14.6% '뚝'

올해 입주물량 7.4만 가구…전년比 4만 가구 급감

‘이중고’ 세입자, 장기 거주 안정 ‘민간임대’에 관심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경기도 전세 시장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전세 매물이 줄어드는 가운데 전세 가격마저 오름세를 보이면서 세입자들의 주거 불안이 심화되는 것이다. 여기에 전세대출 규제까지 시행되면서 세입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25일 아실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경기도 전세 매물은 3개월 전(7월 1일) 대비 14.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인천은 21.9% 줄어드는 등 수도권 전역에서 전세매물 품귀현상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입주 물량도 줄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입주 물량은 7만4741가구로 지난해 11만3708가구보다 약 4만 가구나 줄었다.


고양시 소재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요즘은 전세 물건이 거의 나오지 않고 한 단지에서 손에 꼽을 수준에 전세만 있을 뿐”이라며 “매물이 나오면 연락 달라는 분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전세 품귀 현상은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지난 7~9월 전국 전세가격은 평균 0.21% 상승했지만 경기도는 0.26% 상승하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단기간 상승률은 크지 않은 듯하지만 매물 감소와 맞물리면서 세입자들이 체감하는 전셋값 상승 부담은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6·27대책 이후 강화된 대출 규제로 세입자들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전세대출 규제에 따라 보증금 6억원 초과 시 대출 불가,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제한 등으로 한도가 축소돼서다.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실질적인 주거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대 10년 거주 보장, 시세 대비 85~95% 수준의 합리적 임대료, 연 5% 이내 임대료 상승률 제한 등 세입자의 주거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다.


업계에선 전세시장의 불안정이 더 길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단기간 공급 확대가 어렵고 1기 신도시 재건축이나 구도심 정비사업 등은 이주 수요를 촉발시켜 전세난을 더욱 심화 시킬 수 있다. 이에 공공지원 민간임대 형태의 공급 확대 필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전세시장의 구조적 불안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세입자의 주거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무주택 실수요자들은 연내 공급계획을 눈 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1월 대우건설이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에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더 스마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총 552가구 규모로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 59~84㎡로 구성됐다.


단지는 운정신도시 내에서 1군 건설사가 처음으로 공급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다. 대우건설이 직접 운영·관리한단 점이 특징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달 경기도 오산시 세교2지구에 ‘더샵 오산역아크시티’를 공급한다. 전용 84·104㎡, 공동주택 897가구, 오피스텔 90실로 구성된다.


지하철 1호선 오산역이 인근에 위치하며, 세교2지구의 유일한 주상복합용지에 들어서는 만큼 편리한 생활이 기대된다.


경기도 이천시에서는 신안건설산업이 '이천백사면 공동주택(가칭)'을, 경기도 의정부시에서는 현대건설이 '힐스테이트 회룡역파크뷰'를 각각 공급할 계획이다.


ⓒ더피알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