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고 급증에도 임원들 '성과급 잔치'…1인당 평균 3억원 넘기도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10.26 10:03  수정 2025.10.26 10:03

지난해 국민은행 성과급 142억원…전년도 比 51억원 증가

하나·신한·우리도 성과급↑…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세

올해 4대 시중은행 금융사고 74건…사고금액은 1972억원

주요 시중은행들 임원 성과급이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이 넘은 곳도 등장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이 일제히 늘어난 가운데 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은행들이 사고 손실의 책임은 외면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나섰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들에게 지급된 성과급은 총 142억원으로, 1인당 평균 3억1521만원에 달했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 임원들의 지난해 성과급은 총 89억원, 1인당 평균 1억2040만원으로, 2023년(총 48억원, 1인당 7120만원)보다 약 두 배 증가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전체 임직원 성과급이 각각 1480억원, 1077억원 수준이었다. 신한은행은 2023년에 비해 3%가량 증가했으나, 우리은행은 33% 줄었다.


대부분 은행의 성과급은 늘어나는 동안 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이헌승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1∼8월 4대 시중은행의 금융사고 건수는 74건, 사고 금액은 19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62건·1368억원)보다 각각 19.4%, 44.2% 늘어난 수치다.


▼ 관련기사 보기
한은, 이번엔 금리 묶었지만…집값은 오르고 수출은 둔화 '첩첩산중'
한은, 기준금리 2.5%로 3연속 '동결'…"부동산 대책·환율 더 살펴야"


하지만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4대 시중은행 임원이 금융사고와 관련해 금감원 제재를 받은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경영진이 실적에 따른 성과급은 챙기면서, 금융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문제를 막기 위해 사고가 생기면 보수를 환수하는 '클로백(clawback) 제도' 도입을 위한 법제화를 검토 중이다.


현행 금융회사 지배구조 감독규정에서는 '이연 지급 기간 중 담당 업무와 관련해 금융회사에 손실이 발생한 경우 이연 지급 예정인 성과보수를 실현된 손실 규모를 반영해 재산정된다'고 명시돼 있지만 규정이 모호해 실제 적용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퇴직 이후라도 금융 사고가 드러나면 임원들 성과급을 환수하는 강력한 방안까지 추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당시 '금융사고 책임 떠넘기기 근절'을 공약한 만큼, 이번 체계 개편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