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의장 자격으로 글로벌 협력 방향 제시
"자유무역 회복 어렵다…보호무역 시대 새 해법 찾아야"
한일 경제연대·AI 투자·메가샌드박스 등 성장 전략 제안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저성장 해법을 설명하고 있다. ⓒSK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유튜브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 3개 채널 연합 인터뷰를 통해 APEC CEO 서밋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한국 경제의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이번 APEC CEO 서밋에서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의장을 맡고 있다.
이날 최 회장은 APEC 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APEC 회원국 정상이 모여 많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몇 년간 미중 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가늠할 자리"라고 말했다.
이어 "APEC CEO 서밋은 1700여명이 참여하는 행사로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해법을 찾는 자리"라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비롯해 다수의 글로벌 기업인이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새로운 성장 공식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옛날처럼 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며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 장벽으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저성장 해법을 설명하고 있다. ⓒSK
그러면서 한국 경제의 새로운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AI 투자 확대',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먼저 한일 경제연대에 대해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창출하고 세계 4위 수준의 경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정책은 낡은 방식"이라며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별 핵심 공급망을 강화하고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I 산업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중국의 주도권 경쟁은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군비 경쟁을 떠올리게 한다"며 "양국은 AI 투자 경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며 AI 분야에서 뒤처지는 것은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더라도 필요한 투자는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저성장 해법을 설명하고 있다. ⓒSK
최 회장은 중장기적으로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지역에 메가샌드박스를 만들어 AI 실험장과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해외 인재가 일정 기간 국내에 머무르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카드' 제도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웨어, 콘텐츠, 서비스 중심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등 '소프트머니'를 발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기업인으로서 한국 경제에 대한 책임감을 언급하며 "선친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께서는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말씀을 늘 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하며 사회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