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CEO, 1박2일 방한 공식일정 마쳐…'치킨 회동' 등 화제
삼성·SK·현대차·LG·네이버클라우드 등과 AI 대연합 구축
"HBM4, HBM5, HPM97까지도 삼성·SK와 함께할 것"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경주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입장 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15년 만에 한국을 찾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삼성전자가 필요하고, SK하이닉스도 필요하다"며 양사와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황 CEO는 이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참석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HBM3E와 HBM4 모두에서 한국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HBM4, HBM5, HPM97까지도 함께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모두 뛰어난 기술 역량을 갖고 있다"며 "한 회사(SK하이닉스)는 매우 집중돼 있고, 다른 회사(삼성전자)는 훨씬 더 다양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집중에도 장점이 있고 다양성에도 장점이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두 회사 모두 성공적으로 협력하고 있고 선택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치맥 브라더스'다"라고 덧붙였다.
엔비디아는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장의 GPU(블랙웰)를 공급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5만개의 블랙웰을 기반으로 반도체 제조 전 과정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하고,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체계를 구축한다.
SK그룹 역시 엔비디아와 디지털 트윈 및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엔비디아 GPU가 적용된 AI 팩토리를 건설 중으로, SK하이닉스·SK텔레콤(SKT) 등 계열사가 대거 참여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의 약 5만 개 블랙웰 GPU를 투입해 AI 기반 스마트시티 및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황 CEO는 "한국은 삼성, SK,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주요 기업과 정부가 함께 대규모 AI 팩토리 구축에 나서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인 AI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경주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황 CEO는 이날 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을 모두 가진 나라"라면서 우리는 한국에 AI 생태계를 조성하려 한다. 이제 한국은 AI 주권국가, AI 프론티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황 CEO는 방한 이틀 간 화제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오후 7시 30분부터 약 1시간 10분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에서 회동했다. 이 장소에는 구름인파가 몰리며 화제를 모았다. 회동 다음 날까지도 황 CEO의 자리에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행령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황 CEO는 이번 간담회를 끝으로 1박 2일의 방한 일정을 마쳤다. 행사 종료 후에는 일일이 취재진과 셀카를 촬영하고, 사인을 해준 뒤 "이제 비행기 시간이 다 되어서 가야 한다"며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지난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치맥 회동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