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오르는데 AI 거품론까지
반도체주 중심으로 외인 자금 '썰물'
정부가 '환율 개입' 시 호응 가능성
美 금리인하 따른 유동성 확대가 관건
사상 최고치 경신을 거듭하던 코스피가 숨고르기에 들어선 가운데 향후 방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선 '오천피' 가능성이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지만,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부동산 시장 옥죄기로 증시에 대한 개인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사천피'를 견인한 외국인 투자자의 지속적 유입 가능성, 국내 증시 체질 개선 방안 등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코스피 4000포인트 돌파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외국인 투자자가 최근 매도 우위를 보이는 가운데 향후 국장 복귀 여부에 관심이 모인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코스피 4000포인트 돌파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외국인 투자자가 최근 매도 우위를 보이는 가운데 향후 국장 복귀 여부에 관심이 모인다.
원화 약세로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 상황이지만, 환율 관련 정부 관여가 본격화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확대가 이어질 경우 수급 개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151.59포인트(3.79%) 내린 3853.26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2조원 넘게 순매도하는 등 총 2.3조원가량을 팔아치우며 지수 하락을 견인했다.
간밤 뉴욕 증시에서 인공지능(AI) 거품론이 재부상하며 반도체주가 급락한 가운데 국내 반도체 투톱에 대한 외국인 매도세가 강해지며 지수 급락으로 이어진 모양새다.
앞서 외국인은 지난달 환율이 꾸준히 오르는 상황에도 국내 주식 매수세를 키우며 사천피를 견인한 바 있다. AI 사이클 수혜가 예상되는 반도체 투톱에 대한 기대감이 환율 변수를 압도했던 셈이다.
현재는 원화 약세 국면에 AI 거품론까지 더해져 외국인 수급 개선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시장에선 정부 '입김'이 환율 흐름에 제동을 걸어주길 바라는 모양새다. 특히 국민연금의 통화 스와프 한도 확대 및 연장 등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수출 업체는 물론 국민연금 등 주요 외환 수급 주체들과 환율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환율 불확실성이 과도하게 나타나지 않도록 수출 대기업 등 주요 외환 수급 주체들과 협의하고 있다"면서도 "국민연금과는 아직 소통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 운신 폭 확대로 원화 상승세가 한풀 꺾일 경우, 외국인 복귀에 일부 긍정적 영향이 예상되지만, 핵심 변수는 미국의 금리인하 여부가 될 전망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추가 금리인하로 유동성이 불어날 경우, 저평가된 한국 증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다.
실제로 증권가에선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연말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목소리가 지배적이었다. 내년 코스피 5000 가능성을 앞다퉈 언급했던 증권사들의 핵심 근거 중 하나도 미국의 금리인하에 따른 유동성 확대였다.
하지만 최근 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살펴보면, 금리인하 쪽으로 기울었던 무게추가 가벼워지는 모양새다.
실제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각)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39.5%로 평가하고 있다.
전날 공개된 10월 FOMC 의사록에서도 다수 연준 위원들은 금리동결 의견을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금리동결에 따른 증시 조정이 현실화되더라도 내년 초 인하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추세적 유동성 확대가 이어질 거란 관측이 제기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조정 기저에는 통화완화 정책이 멈출 경우 주식시장의 높은 밸류에이션이 붕괴할 수 있다는 '매파적 연준'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도 "시장이 12월 FOMC에서 금리인하가 없을 수 있다는 점을 빨리 받아들이는 편이 더 나을 수 있다. 경제 여건을 봤을 때, 12월에 인하를 안 하더라도 1월엔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직 연준의 스탠스는 신중함을 요구할 뿐"이라며 "인하 기조를 뒤바꾸려는 조짐은 없다. 12월 인하가 무산돼도 한두 달 밀린다면 심각한 악재로 볼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국장 복귀는 지능순?…투자자 유입 위한 '체질 개선'은 과제 [코스피 돋보기④]>로 이어집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