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시간당 2만5000두 생산 가능한 자동 사육 모델 시연
급이장치 및 사육자재 로더.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25일 농업생물부에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시연회 및 청년 농업인 양성을 위한 양잠농업인 간담회’를 연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와 농촌 인력 부족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양잠산업 모형을 제시하고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도 잠업 기관 등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대한잠사회, 한국양잠연합회, 청년 양잠농업인, 식품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한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시험 운영을 마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시연한다. 이 시스템은 사육상자 운반 장치, 인공사료 급이장치, 사육부산물 제거·관리 장치로 구성되며 사물인터넷(IoT) 감지기를 기반으로 실시간 점검 체계를 갖췄다.
인공사료 공급과 사육부산물 제거·관리를 자동 처리해 시간당 2만5000두의 누에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수작업 방식 대비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크게 줄어 양잠 농가 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온도와 습도 등 환경 요소도 24시간 정밀 제어해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하며, 환경 변화와 질병 등 문제를 미리 탐지하는 스마트 관리 기능도 포함돼 있다.
농촌진흥청은 시험 결과를 반영해 시스템을 개선한 뒤 현장 농가에 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꽃벵이 등 다른 식용곤충으로 적용 범위도 넓혀 곤충산업 전반의 스마트화를 추진한다.
행사에서는 누에 스마트 사육 기술과 홍잠·백강잠 연구 등 기능성 양잠 관련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대한잠사회 지원사업과 협력 방안도 논의한다. 문화요리전문가가 누에와 오디 뽕잎 등을 활용한 조리법도 시연한다.
변영웅 농촌진흥청 산업곤충과장은 “누에 스마트 사육 시스템은 양잠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지속 가능한 사육 모형”이라며 “청년 농업인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양잠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되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