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0곳 중 7곳 "자금 압박, 환율·관세가 최대 요인"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입력 2025.11.26 11:00  수정 2025.11.26 11:00

매출 부진·원가 상승에 자금사정 악화 우세, AI 투자 수요는 확대

기업들 "적정 기준금리는 1.8%… 환율 안정과 불확실성 완화 필요"

ⓒ연합뉴스

국내 주요 수출 대기업이 올해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과 관세 인상 등 대외 변수의 부담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의 채산성 확보가 어려워진 것 등이 배경이다.


2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1000대 수출 제조기업 111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금사정 인식 조사’에 따르면, 올해 자금사정이 악화됐다는 기업은 27.0%로 호전됐다는 응답(23.4%)보다 높았다. 절반가량(49.6%)은 “작년과 비슷하다”고 답했다.


자금사정 악화의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40.0%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원재료·부품 등 제조원가 상승(23.3%), 금융기관 차입비용 증가(11.1%)가 뒤를 이었다.


현재 자금 부담을 키우는 가장 큰 글로벌 리스크는 환율 상승(43.6%)으로 조사됐다. 보호무역 확산과 관세 인상(24.9%), 주요국 경기 둔화(15.6%), 공급망 불안(9.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과 미국 관세 인상 여파로 수입 비용과 원가 부담이 동시에 커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재무 건전성 지표인 부채비율도 악화 흐름이 우세했다.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는 응답은 20.7%로, 감소했다는 응답(12.6%)보다 많았다. 안정적 경영을 위한 적정 기준금리 수준은 평균 1.80%로 집계돼, 현재 기준금리 2.50%보다 더 낮은 수준을 필요로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올해 기업들의 자금 수요는 증가(32.4%)가 감소(18.0%)보다 크게 많았다. 가장 자금 수요가 높은 분야는 원자재·부품 매입(35.7%), 설비투자(30.7%), R&D(15.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AI 도입·활용을 위한 자금 수요가 늘었다는 답변(18.9%)이 감소했다는 답변(8.1%)의 두 배를 넘었다.


기업들이 꼽은 자금관리 애로 사항은 환율·원자재 리스크 관리가 45.4%로 가장 컸다. 이어 수출·투자 환경의 불확실성(20.7%), 금융·자본시장 규제(13.8%) 순이었다.


정책 과제로는 환율 변동성 최소화(29.5%), 수출·투자 불확실성 완화(17.1%),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원자재 수급 안정화(16.8%), 탄력적 금리 조정(16.2%) 등이 제시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관세 인상과 고환율이 내수 부진과 겹치며 기업 자금사정 부담이 계속되고 있다”며 “기업의 숨통을 틔우기 위한 규제 완화와 함께, AI 전환 등 미래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