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 대규모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단계적 폐쇄…“기술진단 용역”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입력 2025.11.27 09:24  수정 2025.11.27 09:25

인천경제청, '자동집하시설 단계적 폐쇄 기술진단 용역'…6억7000만원 투입

인천경제자유구역청사 G타워 전경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설치된 대규모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6억 7000여만원을 들여 '자동집하시설 단계적 폐쇄 기술진단 용역'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자동집하시설은 주민들이 각 아파트단지나 상가 투입구를 통해 버린 폐기물을 땅속에 묻힌 관로를 따라 집하장으로 모으는 장치로, 2000년대 국내 신도시를 중심으로 도입됐다.


송도국제도시에는 2005년부터 자동집하시설이 운영됐으나 20∼30년인 사용 가능 연한(내구연한)이 도래하면서 잦은 고장, 과도한 운영비, 악취 민원 등 각종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5년 송도 2공구와 2008년 4공구에 각각 설치된 자동집하시설에서는 이미 관로 부식을 비롯한 각종 시설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용역을 거쳐 송도 2·4공구 내 자동집하시설을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설치된 전체 시설의 운영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된 영종국제도시의 자동집하시설은 10년 넘게 활용되지 못한 채 방치됐으며, 내년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도로 보수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송도에서 자동집하시설이 폐쇄될 경우 도시 계획 단계 때부터 강조된 '쓰레기차 없는 도시'라는 홍보 문구는 더는 사용할 수 없게 될 전망이다.


자동집하시설 운영이 중단되면 송도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운반 차량이 지역을 돌면서 폐기물을 수거하는 '문전수거'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송도 개발 단계 때 인천경제청은 자동집하시설 운영에 따라 폐기물 운반 차량을 운행하지 않으면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쓰레기 적치 없는 도시를 구현했다고 홍보해왔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자동집하시설을 꼭 폐쇄해야 한다고 미리 결정을 내리지는 않은 단계”라며 “기술적인 부분을 검토해서 향후 시설의 방향성을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