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학회 특별 심포지엄
NXT 출범으로 전체 파이 늘어나
가격발견 기능, KRX와 유사한 수준
수수료 인하 등 소비자 편익도 증대
김대진 성균관대 교수는 27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대체거래소 출범과 복수 시장체제의 도입'을 주제로 진행된 한국증권학회 특별심포지엄에서 한국거래소(KRX)와 NXT의 경쟁 체제가 '제로섬 게임'으로 귀결될 거란 일각의 우려에 선을 그었다. ⓒ강현태 데일리안 기자
지난 3월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 출범으로, 한국거래소(KRX) 독점 체제가 경쟁 체제로 전환된 가운데 '메기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체 시장 '파이' 확대, 가격발견 기능은 물론 경쟁에 따른 수수료 인하 등의 효과가 있었지만, 복수 거래소 체제가 걸음마 단계인 만큼,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대진 성균관대 교수는 27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대체거래소 출범과 복수 시장체제 도입'을 주제로 진행된 한국증권학회 특별심포지엄에서 KRX와 NXT의 경쟁 체제가 '제로섬 게임'으로 귀결될 거란 일각의 우려에 선을 그었다.
김 교수는 과거 KRX 독점 체제에서의 전체 주문량을 100으로 가정할 경우, NXT 출범 이후 KRX·NXT 주문량이 50대 50의 '나눠 먹기'가 아닌 80대 80, 총 160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KRX 입장에선 일부 주문량이 감소했지만, 전체 시장 측면에선 주문량이 늘어나는 흐름이 감지됐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시장 뎁스(depth)가 NXT 등장으로 증가했다"며 "유동성 파편화, 유동성 감소와는 전혀 상관이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NXT가 '15% 룰' 등 정부 규제 영향으로 특정 종목 거래 중단에 나설 경우, 총 160으로 늘어난 주문량을 KRX가 모두 흡수하진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 KRX 독점 체제 주문량(100)이 복수 거래소 체제를 맞아 80대 80, 총 160으로 늘었지만 NXT가 거래 중단에 나설 경우, KRX가 160보다 낮은 수준의 주문량을 보인다는 설명이다. 복수 거래소 체제가 전체 파이 확장에 기여한다는 점이 다각도로 확인된 셈이다.
안영비 금융위 자본시장과 사무관은 "장기간 시계열 분석이 필요하다"면서도 "NXT 도입으로 거래대금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결과가 있는 것 같다. 기존 파이를 양분하는 게 아니라 전체 파이가 늘어나는 것을 금융당국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건전한 경쟁에 따라 수수료가 인하됐다"며 "KRX가 수수료 인하 추진을 발표했다. 소비자 편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27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대체거래소 출범과 복수 시장체제의 도입'을 주제로 한국증권학회 특별심포지엄이 개최됐다. ⓒ넥스트레이드
김 교수는 NXT가 '가격 발견'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변화로 꼽았다.
조 하스브룩 뉴욕대 교수가 고안해 낸 '하스브룩 지표(Hasbrouck infromation share)'를 활용해 KRX와 NXT의 가격 발견 기능을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KRX와 NXT가) 거의 반반씩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NXT는 상대적으로 거래량이 적은 종목에 대한 가격 발견 기능을 맡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 교수는 "상위 50개 종목은 아무래도 거래량이 많아 KRX 파워가 클 수밖에 없다"며 "하위 50개 종목은 기본적으로 유동성도 낮고 사이즈도 작다. 이런 종목의 유동성 공급, 가격 반영이 훨씬 더 의미 있다. NXT가 하위 50개 종목에 대해 상당 수준의 가격 관련 기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맥락에서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에선 엉뚱한 시간이나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하는 경우가 있다"며 "시장이 어떻게 판단하는지 가늠하기 어려웠는데 NXT가 생긴 이후 즉각적인 시장 반응 알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선 NXT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도 제기됐다.
진양규 금투협 증권지원1부장은 "우리가 미국·유럽처럼 시장 경쟁 구조가 성숙한 시장이 아닐뿐더러 호주·일본 등 후발주자에 비해서도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상황"이라며 "경쟁 초기단계에서는 규제할 게 아니라 경쟁 확대 방향으로 정책을 세우고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론 ▲증권사 주문서비스 경쟁 활성화 ▲15% 룰 등 시장 점유율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