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방사능 수산물 수입 네티즌 "수입시킨 놈이 먹어"


입력 2013.08.18 10:55 수정 2013.08.18 11:00        스팟뉴스팀

농산물과 가공식품 방사성 미량 검출도 반송, 수산물만 기준치 이내 수입 허가

KBS 뉴스 화면 캡처.

최근 방사성 물질이 미량 검출된 일본 수산물 수입이 허용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유출돼 일본산 식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기준치 이내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일본 수산물들이 버젓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것.

보건당국은 농산물과 가공식품의 경우 방사성 물질이 미량이라도 검출되면 모두 반송시키는 반면, 수산물에 대해선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내라면 국내 수입과 유통을 허가하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로 들어온 수산물 가운데 방사성 세슘 또는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된 물량은 수입신고 기준 총 131건, 중량 기준으로는 약 3010톤에 달한다.

올 들어 검출량이 줄긴 했지만 냉장·냉동내구의 경우 기준치에 육박한 방사성 세슘이 검출되기도 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일본 식품 수입 자체를 차단시키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포털사이트 네이트 아이디 ‘lkl7****’은 “먹는 수입품은 일본 것은 다 차단시켜야 된다고 본다. 거래 끊어야지”라고 주장했고, 아이디 ‘vasa****’은 “진짜 국민 건강이나 생명보다 경제나 외교 우선시하는 건 우리나라뿐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이디 ‘move****’은 “수입시킨 XX가 다 처먹으라고 해. 극소량이면 먹어도 된다는 논리야 뭐야”라며 우리 보건당국을 거칠게 비판했다.

이밖에 트위터 아이디 ‘pske***’은 “이러니 정부 신뢰를 못하지”라고 꼬집었고, 아이디 ‘jk****’은 “국민은 방사능 실험용 모르모트(기니피그의 프랑스식 표현)가 아닙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식약처는 원산지를 기준으로 하는 수산물 수입제한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기술적인 이유로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다를 돌아다니는 수산물의 경우 원산지가 유동적이라 원산지에 따라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는 것은 과학적이지 않다는 설명이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