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치부심 롯데, 강민호 꽉 잡은 '신의 한 수'
옵션 없이 보장금액만 오롯이 75억원 수령
지난해 김주찬과 협상서 옵션으로 틀어져
강민호(28)가 예상대로 롯데 잔류 및 FA 역대 최고액을 경신했다.
롯데는 13일 강민호와 4년간 총액 75억원(계약금 35억원+연봉 10억원)의 조건으로 FA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종전 최고액인 2005년 삼성 심정수(4년 60억원)를 뛰어넘는 대우다.
이로써 강민호는 다음 시즌 계약금 35억원과 연봉 10억원을 수령한다. 이후 3년간 기본 연봉 10억원의 초고액 연봉자로 FA 특수를 누리게 된다. 무엇보다 계약 내용에 기존 FA들과 달리 ‘옵션’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대개 구단들이 FA 계약을 맺을 때 옵션을 포함시키는 것이 다반사다. ‘먹튀’ 방지를 위한 이른바 안전장치인 셈이다. 옵션에는 출장 경기 수, 타율, 홈런 등 선수가 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달성 가능한 목표가 포함되곤 한다.
실제로 지난해 KIA와 4년간 50억원의 계약을 맺은 김주찬의 경우, 옵션 4억원(매년 1억원)이 책정됐고, 보장금액은 46억원이었다. 1년 앞서 넥센으로 돌아간 이택근 역시 FA 계약 총액은 김주찬과 똑같은 50억원이었지만 옵션이 6억원이나 걸려있어 보장액은 김주찬보다 2억원 적었다.
종전 최고액이었던 심정수도 마찬가지다. 삼성은 여타 구단들과 달리 ‘마이너스 옵션’ 조항을 삽입하곤 했는데 심정수와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옵션 10억원을 매겼다. 이로 인해 심정수의 보장액은 50억원이었다.
결국 심정수는 4년 계약 기간을 보내며 플러스 옵션을 2억원 밖에 챙기지 못했다. 급기야 마이너스 옵션으로 2억 5000만원이 걸려 실질적으로 그가 받은 총액은 49억 5000만원에 그쳤다.
하지만 강민호는 다르다. 그가 부상으로 출전이 불가능하거나 심각한 부진에 빠지더라도 오롯이 75억원 전부를 챙기게 된다. 옵션 자체가 아예 없기 때문이다.
사실 롯데가 모처럼 통 큰 투자를 한 이유는 따로 있다. 롯데는 최근 이대호를 시작으로 홍성흔, 김주찬 등 주축 선수들이 FA 자격을 얻고 팀을 떠났다. 이로 인해 팀 성적은 물론 관중 동원에서도 큰 하락세를 감내해야만 했다.
특히 김주찬의 경우, 옵션으로 인한 이견 차이로 계약이 틀어지고 말았다. 당시 롯데가 제시한 금액은 4년간 총 44억원(보장 40억원, 옵션4억원)이었지만 김주찬은 옵션 8억원을 더한 48억원에서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쓰디 쓴 실패를 맞본 롯데는 이번 강민호와의 계약에서 아예 옵션을 제외하는 파격적인 안을 제시했다. 선수 입장에서는 옵션을 채워야 한다는 부담을 떨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액수 자체는 물론 실질적인 대우에서도 최고 수준을 보장받은 강민호가 롯데 잔류를 택한 이유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