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전진단 통과 재건축이 개최한 현장설명회에는 건설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사진은 부산 아파트 전경. ⓒ게티이미지뱅크
건설사들이 이미 안전진단을 통과한 재건축을 수주대상 1순위에 올려놓고 있다.
서울은 물론 지방의 소규모 단지라로 안전진단 통과 후 시공사를 찾는 곳이라면 건설사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다.
지난해 참여사 저조로 입찰이 무산됐던 서울 재건축과 대형사의 관심이 적었던 지방 소규모 정비사업 현장설명회 마저 십여개의 건설사들이 참여해 경쟁이 과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들 단지의 공통점은 안전진단을 통과해 시공사 선정 후 바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는 최근 정부의 안전진단 기준을 강화에 자칫하면 수주 영업을 해놓고도 안전진단 문턱을 넘지 못해 사업지연 등으로 인한 손실이 생길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업계에서는 재건축 정비사업 업계 물량 가뭄이 예고된 가운데 시공사를 찾는 조합들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면서도 사업에 제동이 걸리지 않을 사업장을 찾기란 여간 쉽지 않다고 토로하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건설사들 수주물량 급감 예상하며 안전진을 통과해 사업진행이 확실한 곳을 선점하려는 모습이다.
실제 최근 안전진단 통과 재건축이 개최한 현장설명회에는 건설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서울 대치쌍용2ㅏ차 조합이 지난달 26일 개최한 현장설명회에는 총 12개 건설사가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이곳은 지난해 말 진행된 시공사 입찰에 대우건설만 단독으로 참여해 입찰이 유찰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번 현설에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등 대형사와 한양, 효성, 대방건설, 동부건설, 동양건설산업, 극동건설 등 중견사들도 참여해 격세지감을 느끼게 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치쌍용2차는 한차례 유찰이 된 후 재건축 규제 등이 맞물려 시공사 선정을 늦추는 듯 했지만, 조합원들의 의지가 강해 곧바로 시공사 산정에 나섰다”며 “강남권 재건축이라는 희소성과 함께 안전진단을 이미 통과해 눈독을 들이는 건설사들이 늘었다”고 말했다 .
해당 조합은 오는 4월 30일 입찰을 마감할 계획으로, 입찰이 성사될 경우 6월초 시공사 선정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 영등포구 신길10구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달 26일 열린 신길10구역 재건축 현설 현장에는 15개사가 참여해 더욱 성황을 이뤘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