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소추 가결 이후 윤 대통령 긍정 지지율 30.4%로 12.9P 상승
보수층 결집=8년 전 트라우마+이재명 경계 심리...이재명 불신 51%
이재명 대표 빅데이터 반응, 혼란·혐의·위기·범죄·체포...재판 리스크
집권 여당이자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은 창당 이래 최대 위기 국면이다.
당 출신인 윤석열 대통령은 탄핵 심판에 놓여 있고 전당대회에서 60% 이상 득표율을 올리며 차기 주자로 주목받았던 한동훈 전 대표는 탄핵 소추 가결이라는 멍에를 쓰고 당에서 쫓기듯 물러났다.
미래 운명도 불투명하다. 당은 다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었고 권영세 의원이 위원장으로 중책을 맡았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으로 몰아가고 있고 민주당 지지층이거나 윤석열 대통령 퇴진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유권자들은 국민의힘을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윤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 지지율은 더 올라가고 있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급전직하로 추락하기는커녕 오히려 올라가고 있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12월 23~24일 조사(전국 1013명 무선 RDD 자동응답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3.1%P 응답률 3.7% 자세한 사항은 조사 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30.4%(매우 지지 21.9%·지지하는 편 8.5%)로 나타났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68.2%(매우 지지 안 하는 편 62.5%·지지하지 않는 편 5.7%)였다. 직전 조사(12월 9일) 대비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12.9%P 상승했고,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1.9%P 하락했다. 탄핵 소추 가결 이후 조사는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지 여부’로 물어본 것이라 질문의 성격에 차이는 있지만 보수 결집으로 나타난 셈이다.
보수층의 태도가 달라진 가장 큰 이유는 우선 ‘탄핵 트라우마’다.
8년 전 탄핵 국면에서 겪었던 공포와 충격이 컸기 때문이다. 당시엔 대통령과 새누리당 정당 지지율이 한 자릿수로 곤두박질쳤다. 백약이 무효였고 추락하는 지지율엔 날개가 없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 기반은 만 4년 가까이 초토화되었다. 2017년 대통령 선거뿐만 아니라 2018년 지방선거 그리고 2020년 국회의원 선거까지 3번의 전국적인 선거에서 연거푸 무너졌다.
이번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 대통령 지지율 조사를 지역별로 보면 보수 기반이 있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상승폭이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을 포함해 거의 모든 지역에서 직전 조사보다 지지율이 더 올라갔다. 연령대별로 보아도 60대와 70대 이상뿐만 아니라 30대와 40대에서도 지지율이 올라갔다.
그럼 이번에는 정당 지지율을 보자.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지‘ 물어보았는데 국민의힘 30.3%, 더불어민주당 44.1%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 대비 국민의힘은 6.7%P, 민주당은 1.6%P 각각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전 지역과 전 연령대에서 상승했다. 옳은지 그른지를 떠나 8년 전처럼 초토화되지 않겠다는 학습 효과가 보수층 결집에 영향을 주고 있다. 87년 민주화 이후 가장 극단화된 진영 대결 양상으로 분석된다.
보수층이 결집하는 더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바로 ‘이재명 경계 심리’다. 아무리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이라는 악재를 불러와서 탄핵 소추 가결로 직무정지가 된 상태이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견제 심리의 작동이다.
한국갤럽이 자체적으로 지난 12월 10~12일 실시한 조사(전국 1002명 무선 가상번호전화면접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3.1%P 응답률 15.8% 자세한 사항은 조사 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 신뢰하는지, 신뢰하지 않는지’ 물어보았다. ‘신뢰한다’는 의견은 41%,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신뢰한다는 의견보다 10% 더 많은 51%로 나왔다. 탄핵 심판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반사 이익을 얻었음에도 이 대표에 대한 신뢰 수준은 절반이 채 되지 못했다. 호남을 제외하고 전 지역에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대구·경북은 이재명 대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2%나 되고 부산·울산·경남은 59%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와 50대를 제외하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탄핵 집회에 많이 등장했던 2030 MZ세대 중에서도 이 대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58%, 56%가 될 정도로 매우 높았다. 중도층에서는 신뢰한다 42%, 신뢰하지 않는다 49%로 나왔다. 다른 인물과 함께 아닌 이 대표만 놓고 신뢰와 불신뢰 평가를 물어보았는데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더 많은 결과다. 윤 대통령에 대한 신뢰가 바닥으로 추락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대표에 대한 신뢰나 지지가 더 높이 올라가지도 않는 상태다. 이 점 역시 8년 전과 다른 상태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일정과 별개로 국민들의 그리고 유권자들의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사법 검증은 일단락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재명 대표를 둘러싼 정치적 현상에 대해 빅데이터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지난 12월 15~30일 기간 동안 빅데이터 심층 분석 도구인 썸트렌드(SomeTrend)로 빅데이터 감성 연관어를 분석해 보았다.
이재명 대표에 대한 빅데이터 감성 연관어는 ‘혼란’, ‘비판하다’, ‘혐의’, ‘참사’, ‘위기’, ‘비판’, ‘범죄’, ‘체포’, ‘위반’, ‘부정선거’, ‘갈등’, ‘불안’, ‘반대하다’, ‘논란’, ‘폭주’, ‘바라다’, ‘위로하다’, ‘의혹’, ‘우려’, ‘정상적’, ‘적극적’, ‘유감’, ‘안전’, ‘진심’, ‘신속하다’, ‘희망’, ‘일방적’, ‘해결하다’, ‘남발하다’, ‘잘하다’, ‘꿈꾸다’, ‘합리적’, ‘고의적’, ‘폭압적’ 등으로 나온다(그림).
이 대표에 대한 빅데이터 감성 연관어를 분석해 보면 대체로 긍정적인 연관어보다 부정적 연관어 비중이 더 높아 보인다.
윤 대통령 심판 국면에서 이 대표의 중도 외연 확대 노력에 관심이 쏠리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 대표의 재판 리스크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시간은 동시에 이재명 대표에 대한 사법 검증 시간이다.
또다시 도덕적이고 사법적인 결함으로 좌초하는 지도자가 나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보수층이 결집하는 가장 큰 이유이고 8년 전과 다른 이유다.
글/ 배종찬 인사이트케이소장·정치컨설턴트(mikeba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