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보복' 논란엔 "정의와 보복은 구분돼야"
'독재' 공세에는 "조작·왜곡은 정치 아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취임 첫날 야당 대표와 회동할 뜻을 내비쳤다.
이재명 후보는 31일 KBS '시사본부' 인터뷰에서 '임기 첫날 야당 당사를 찾아 대화의 정치를 복원할 의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국회에서 아마 취임 선서식이 열리니 업무 효율적인 측면에서, 상식적인 측면에서도 (질문이) 상당히 일리가 있어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집권 시 야당과) 기본적으로 대화를 해야 한다. 싫다고 안 볼 수는 없는 일"이라며 "첫날 할지는 생각해 봐야겠다. 지금은 전쟁 중이라 그때 가서 생각을 하는 게 좋은 제안 같다"고 했다.
이 후보는 정치인도 수사 대상에 포함하는 '내란 특검'이 정치 보복 아니냐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봉합과 통합, 초보적 정의와 정치 보복은 구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한민국 헌정질서를 통째로 파괴한 중대범죄 행위를 정치적 상대가 저질렀단 이유로 갈등이 생길 수 있으니, 눈을 감고 넘어간다는 건 정치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국민이 원할 것이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과 김문수 후보가 이 후보가 입법권력에 이어 행정권력과 사법권력까지 장악해 '독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는데 대해선 "정치 상대끼리 프레임 제시와 정치 공방은 피할 수 없다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기본 사실관계를 조작하고 왜곡하고 상대를 음해하는 방식은 정치가 아니다"고 맞받았다.
그는 "국민의힘이나 구 여권에서 벌이는 일을 보면 소위 '허수아비 때리기'를 많이 한다"며 "있지도 않은 일을 만들어서 있는 것처럼 하고 상대를 공격한다. 그런 방법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에 다수당을 준 것은) 국민이 심판한 것"이라고 했다. 또 "사법부 장악을 말하는데, 우리는 전혀 그럴 생각이 없을 뿐 아니라, 사법부란 것도 입법부와 행정부의 부당한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지 국민·정의·헌법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이 후보는 "자기들이 독재했으니 상대도 정치 보복을 하지 않을까 우려하는데, 우리는 국민의힘과 다르다"며 "그들이 소위 말해 낮게, 저질스럽게 나오더라도 우리는 높게 품격 있게 가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