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례 접근성 리뷰…다음주 '관찰대상국' 등재될까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20일 지난 3월 한국 증시의 공매도 거래가 재개돼 공매도 접근성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국인의 투자 접근성은 여전히 제약을 받고 있다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MSCI는 다음 주 연례 국가별 시장 분류 결과 공개에 앞서 발표한 연례 시장 접근성 리뷰에서 한국 증시의 공매도 접근성에 대한 평가를 '마이너스'(개선필요)에서 '플러스'로 상향 조정했다. "(제도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 상황을 모니터링하겠다"는 설명이다.
외환시장에 대해서는 외국 기관투자자(RFI)의 국내 은행 간 외환시장 참여 허용, 외환시장 거래 시간 연장 등을 언급하며 "일련의 개혁 조치가 시행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국인 투자자) 등록 절차에 여전히 운영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옴니버스 계좌 및 장외거래(OTC)의 활용이 제한적이어서 관련 조치의 효과가 제약을 받고 있다"고 짚었다.
한국 증시는 지난해 18개 평가 항목 중 7개 항목에서 '마이너스'를 받은 바 있다. 올해는 공매도 접근성 항목이 '플러스'로 전환되며 '마이너스' 항목이 6개로 줄었다.
외환시장 자유화, 투자자 등록 및 계정설정, 청산결제, 투자상품 가용성 등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게 MSCI 측 평가다.
MSCI는 전 세계 증시를 선진시장과 신흥시장, 프런티어 시장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은 현재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과 함께 신흥시장에 속해있다.
2008년 MSCI 선진시장 편입을 위한 '관찰대상국(Watch List)'에 올랐으나 시장 접근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등재가 불발됐다. 지난 2014년에는 관찰대상국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MSCI는 한국 시장과 관련해 배당절차 변경, 외환시장 개방, 영문 공시 확대 등 외국인 접근성 확대를 요구해 왔다.
MSCI는 한국 시간으로 오는 25일 연례 시장 재분류 결과를 발표한다.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되면 이르면 2026년 6월 편입 발표, 2027년 5월 말 실제 편입이 이뤄질 수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