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처, ‘제2차 공무원 역량강화 공개토론회’ 개최
공직사회 인사관리 혁신을 위해 고위공무원단과 과장급에 이어 5급까지 적용되는 정부 공통 역량평가 모형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인사혁신처와 한국행정연구원은 27일 ‘제2차 공무원 역량강화 공개토론회’를 공동 개최하고, 공직사회 내 역량 중심 인사제도 확산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토론회는 ‘미래인재 평가의 변화: 국내외 역량평가 최신 동향 및 시사점’을 주제로 지방공무원과 중앙부처 공무원의 역량평가 운영 현황과 향후 확대 방안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주제 발표에서는 중앙부처 역량평가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김상준 인사혁신처 전문관은 “중앙부처의 고위공무원단 및 과장급 역량평가는 제도와 운영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5급까지 적용 확대를 위한 정부 공통 5급 역량 모형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방공무원 평가의 필요성과 현장 적용 방안도 논의됐다. 박현욱 경기대 교수는 “지방정부의 다양한 정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무원의 실질적 역량 측정 및 평가 피드백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며 “현장에 맞는 역량지표 개발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처별·직무별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평가체계 마련의 중요성도 제기됐다. 조하나 외교부 서기관은 “다양한 국제환경에 대응하는 외교관의 역량은 일반 행정과 차별화된 특성이 있어, 직무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역량 모형을 운영 중”이라며 “부처별 특성과 직무 유형을 반영한 유연한 역량평가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종합토론에는 학계와 실무 현장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인사처는 이번 공개토론회가 공직사회 역량평가 체계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인사행정 관련 학회 등과 협력해 공무원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사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