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1996년 경호공무원 임용 뒤 대통령경호처 30년 근무…정통 경호관료
지난 1월 공수처 尹체포 시도 당시 경호처 실무진 지휘…화기 소지·순찰 명령
경찰 조사 단계서 "尹 지시 없었다" 진술했지만…이후 특검 조사서 진술 번복
특검, 김성훈 진술 변화 계기로 주요 인사들 입장 변화 점검…말맞추기 방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9일 진행된 가운데 수사 핵심 인물로 꼽혀온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진술 변화가 특검 수사의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른바 '호위무사'로 불리며 윤 전 대통령 곁을 지켜온 김 전 차장은 최근 특검 조사에서 기존 입장을 뒤집고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지시를 인정하는 진술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져 수사 구도를 흔들고 있다.
김 전 차장은 1996년 경호공무원으로 임용된 후 대통령경호처에서 30년간 근무한 정통 경호관료다. 역대 대통령의 근접경호와 주요 의전, 국가 행사 경호 실무를 두루 거쳤으며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엔 인사과장과 경호처 차장을 역임했다. 특히 대통령의 신변 보호와 대외 행사 경호 지휘 등을 맡으며 '실세 경호관'으로 불렸다.
지난해 1월 공수처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시도했을 당시 김 전 차장은 경호처 실무진을 지휘해 영장 집행을 저지한 인물로 지목됐다. 당시 김 전 차장은 경호요원들에게 "경찰에 총을 보여줘라"고 지시하고 화기를 소지한 채 외곽 순찰을 돌도록 명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총기 사용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는 진술도 확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김 전 차장은 경찰 조사 단계에서 "상부의 지시에 따라 움직였을 뿐 윤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는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으나 특검 조사에서 입장을 급변했다. 최근 조사에서 그는 "윤 전 대통령이 직접 체포영장을 막으라고 지시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특검이 영장청구서에 포함한 핵심 증거로 제시됐고 사건 전반의 판세를 가늠할 분수령으로 평가받는다.
특검팀은 김성훈 전 차장의 진술 변화를 계기로 대통령경호처 주요 인사들의 입장 변화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특히 진술 시간대와 내용 불일치 여부, 교차 진술을 통해 사실관계를 재구성하며 공범 수사의 실마리를 쥐려는 전략이다. 또 진술 번복이나 이른바 관련자간 '말 맞추기' 움직임을 방지하고자 조사 순서와 방식도 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속영장 심사 결과는 특검의 수사 동력에도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만약 영장이 발부될 경우 특검은 김 전 차장의 진술을 기점으로 윤 전 대통령 측근과 공범 수사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통령경호처 내부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과정과 보고 체계, 지시 라인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영장 발부는 특검에 확실한 수사 명분을 안겨주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반면 영장이 기각될 경우 김 전 차장의 진술 신빙성과 수사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특검 수사는 급격히 동력을 잃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