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당시부터 사회적 참사 진상 규명 의지 밝혀
오는 16일 세월호·이태원·오송·무안 유가족 만나
이재명 대통령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앞두고 참사 현장을 방문해 재난 예방과 관련한 공직자들의 자세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4일 취임 당시부터 사회적 참사 진상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안전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이번주 세월호·이태원·오송 지하차도·무안 여객기 참사 등 사회적 4대 참사 희생자 유가족을 만나 위로하고 이야기를 듣는다는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1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 있는 궁평2지하차도를 방문했다. 오전 충북 진천에서 5급 예비 사무관들과 만나 특강을 하고 오찬을 함께 한 직후 참사현장으로 달려갔다.
이튿날인 15일은 오송 지하 참사 2주기로, 이 대통령은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고 왼쪽 가슴에는 검은색 추모 리본을 달았다.
이 대통령은 "관리 부실로 인명 사고가 나면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기준으로 책임을 엄중하게 물을 것"이라며 "(사고가 난 뒤) 실수가 어디 있느냐. 공직자는 실수하지 않는 게 의무인데, 해야 할 일을 안 해서 사람이 죽고 다치는 일은 절대로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고 국회·정부·지자체 등 관계자들을 향해 경고했다.
이 대통령은 김영환 충북지사 등 참석자들에게 당시 제방 붕괴원인 및 침수 사고 경과, 개선사항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지하차도와 인근 현장을 돌아봤다.
이 대통령은 "충북에서 가장 위험한 곳이 어디냐"며 재해·재난 사고 우려 지역을 물었고, 김 지사는 "괴산댐과 충주 지역이 제일 위험하고 실제 계속 사고가 났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미호강 범람으로 침수됐던 궁평2지하차도도 살펴본 뒤 희생자들을 위해 헌화하고 묵념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수사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유가족들의 요구사항은 없는지도 물었다.
이 대통령은 "인력으로만 해결할 게 아니라 구조적·시스템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에 관해 묻고는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나눠서 할 일과 함께할 일을 잘 구분하고 단위별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강유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전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당시부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취임 이후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와 국무회의에 이어 세 번째로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소집하며 국민 안전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열고 "국가의 존재 이유 중에 가장 큰 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우리가 하는 모든 국정이든 지방행정이든 사실 제일 먼저 챙겨야 될 것이 국민의 안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당하는 부서 영역은 방치하고, 인허가 이런 데에는 우수한 인력을 배치하는 경향이 있지 않았나 싶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관계된 영역에 좀 더 유능한 인재를 배치하는 노력을 했으면 좋겠다"고도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취임사에선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 사회적 참사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지 않는 안전사회를 건설하겠다"고도 밝힌 바 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오는 16일 세월호·이태원·오송 지하차도·무안 여객기 참사 등 사회적 4대 참사 희생자 유가족을 만나 위로하고 이야기를 들을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