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문정 인천광역시 서구의회 의원 기고
인천, 李대통령 대권 복귀의 발판이 돼
민주당의 중심도시 만들려는 시도 꾸준
국민의힘, 위기감 형성돼야 하는 시점
인천은 단순한 광역시가 아니다. 수도권 정치 지형을 좌우하는 중대한 전략 거점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인천을 완전히 장악할 경우, 국민의힘은 수도권 내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 지금이라도 당내 위기감이 분명히 형성돼야 하는 시점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박찬대 의원의 연대는 단순한 지역 기반 다지기가 아니다. 인천을 수도권 권력 재편의 전진기지이자 중추 기지로 삼으려는 포석이다. 인천 지역에 연고를 둔 박찬대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인천에서부터 개혁의 바람을 일으켜 내년 지방선거 완승을 이끌겠다'고 천명하고 나섰다.
덧붙여, 인천은 이재명 대통령에게도 각별한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 2022년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하며 정치적으로 부활했고, 이는 곧 당권 장악과 대권 복귀의 발판이 됐다. 인천은 이들의 상징적 거점이다. 그러므로 인천을 민주당의 중심 도시로 만들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인천을 둘러싼 권력 구도가 흔들리는 지금, 그 정세의 한복판에 서 있는 청년 정치인으로서 이 흐름을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당이 지난 몇 차례 선거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데에는 단순히 인물론이나 바람의 문제가 있었던 것만은 아니다.
지역에서 주민들을 만나며 자주 듣는 말이 있다. 단순한 위로나 격려가 아니다. 주민들은 지역의 청년 정치인들에게 "보수 정당으로서 힘을 좀 써보라" "청년들에게 소구력 있는 정책을 만들어보라"는 요구를 분명히 전했다. 이는 단지 응원이 아닌 '책임'을 묻는 언어였다. 당과 청년 정치인들이 유권자에게 진정성 있는 비전과 정책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한 것은 선거 패배의 한 축으로 분명하게 작용했다.
반복된 선거 패배의 책임, 청년 정치인들 역시 유권자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던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유권자들의 말들은 질책이 아닌, 간절한 요청이다. 청년 정치인은 단순히 '젊은 얼굴'이 아니라, 낡은 정치를 바꾸는 질문자여야 한다. 진짜 청년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다음 세 가지 방향이 분명히 필요하다.
첫째, 청년이 정책의 중심이 되는 정당. 둘째, 청년이 정당 안에서 실질적인 권한을 갖는 구조. 셋째, 청년이 체감하는 콘텐츠와 언어로 소통하는 정당.
단지 이벤트성 공천이 아닌, 청년이 주도하는 정치 구조의 전환을 만들어야 한다. 청년이 실감할 수 있는 일자리·주거·교육·문화 정책을 설계하고, 그 성과가 청년의 일상에서 체감되도록 해야 한다. 정치의 언어도 바뀌어야 한다. 유튜브·인스타그램·틱톡 등 청년이 머무는 공간으로 정당의 메시지가 도달해야 한다. 더 자주 유권자들을 만나고, 더 가까이 소통해야 한다.
특히 2025년 기준, 인천에만 약 59만 5000명의 청년(만 19세~34세)이 살고 있다. 이는 전체 인구의 19.6%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비율이다. 인천은 분명 청년정책의 중심지이자 정치 전략의 요충지다.
정치를 바꾸는 건 거창한 담론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과 태도의 전환에서 시작된다. 청년이 그 출발선에 서야 한다.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책무다. 청년이 성장하지 못하는 사회에서, 미래를 기대할 수는 없다. 청년은 권력의 도구가 아니라, 움직임과 실천으로 자신의 자리를 증명해야 한다. 그 변화의 출발선은 바로 이곳, 인천이어야 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