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하락거래 비중 4.1%p↑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전국적으로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이 축소된 가운데 서울·경기지역에서는 하락 거래 비중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 대비 2.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해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지난달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전월 대비 3.1%p 줄었다. 이에 비해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세부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하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어나며 수도권 전반에서 뚜렷한 약세 흐름이 감지된다.
반면,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상승 거래 비중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됐다. 하락 거래 비중도 40.6%에서 42.2%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방은 7월 상승 거래가 전월보다 0.2%포인트 줄어든 44.0%, 하락 거래는 0.4%포인트 증가한 43.5%로 변동 폭이 미미했다.
다만, 대통령실 이전 등 정치 이슈영향을 받은 세종시는 7월 상승 거래 비중이 41.7%로 6월 대비 7.2%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p 증가했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면서도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