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순위대출 등 자금 공급 역할 수행"
금융투자협회는 18일 회계기준원 공식 질의를 거쳐 영구폐쇄형 인프라 펀드의 회계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밝혔다.
금투협은 "업계가 지난 1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회계 애로사항 논의' 결과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확대 의지로 화답했다"며 "인프라 사업에 금융회사 등 기관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영구폐쇄형 펀드를 조성해 높은 투자위험을 감내해야 하는 후순위대출, 지분출자 등에 대한 자금 공급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간 금융회사들은 펀드를 통해 초장기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경우, 관련 평가손익이 매년 당기손익(FV-PL)에 반영될 우려를 감내해야 했다.
관련 여파로 인프라 펀드 결성건수 기준 상위 6개 운용사를 살펴본 결과, 2020년 2조1000억원에 달했던 인프라 펀드 규모는 지난해 6000억원 규모로 급감했다. 특히 금융업권 중 투자비율이 높았던 보험사의 경우, 올해 들어 신규 투자가 전무했다.
금투협은 "협회 측이 회계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회계기준원에 공식 질의를 신청했다"며 "회계기준원이 만기를 정하지 않은 폐쇄형 펀드는 투자자가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처리할 수 있다고 회신했다. 향후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인프라 사업에 민간자금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올해 기획재정부가 추진키로 한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기재부는 사회기반 시설의 적기공급을 위해 '18조5000억원+α' 규모로 환경, 도로, 철도 등과 관련한 신규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기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를 통과한 사업이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자금조달 문제를 순차적으로 해소할 경우, 올해 사업집행 실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아울러 금투협은 "새 정부의 미래 전략형 사업인 ▲인공지능 등 성장 및 산업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대응 ▲지역소멸 대응 및 지역균형발전 등 새로운 유형의 공모형 민간투자 사업에도 금융회사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